earticle

논문검색

모바일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의 학습 경험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Learning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Lower-Grade Learners in Mobile-Based Programming Classes

김유나, 신승기, 김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foster creative talents demanded by future society, systematic education to cultivate computational thinking should start from the early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here various foundational competencies are form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effective programming education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lower-grade learners who encounter block coding for the first time. To achieve this, a 10-session programming class using a mobile-based coding application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first-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learners during the classes were deeply analyz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class videos, observation journals, interviews, and coding output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s of subjectivity, content, and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lesson using a mobile-based coding application as a way for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tart programming more easily, and it examines the learning process and experiences of learners in-depth from a constructionist perspective.

한국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여러 기초 소양이 형성되는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컴퓨팅 사고 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블록코딩을 처음 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을 탐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반 코딩 애플리 케이션을 활용한 10차시의 프로그래밍 수업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고, 수업 영상, 관찰일지, 면담, 수업 산출물 등을 분석하여 수업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학습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경험의 주체, 내용, 환경 관점에서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들이 보다 쉽게 프로그래밍을 시작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모바일 기반 코딩 앱을 활용한 수업을 제안하였다는 점, 구성주의 관 점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바라보고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소프트웨어 교육
2.2. 페퍼트(Papert)의 구성주의
2.3. Dewey의 교육적 경험
3. 연구 방법
3.1. 연구참여자
3.2. 수업 도구
3.3. 자료 수집 및 분석
4. 연구 결과
4.1. 경험의 주체(학습자) 측면
4.2. 경험의 내용(지식) 측면
4.3. 경험의 환경 측면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유나 Yuna Kim. 서울신정초등학교
  • 신승기 Seungki Shin. 서울교육대학교
  • 김갑수 Kapsu Kim. 서울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