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60~70년대 국가주의와 텔레비전 드라마의 ‘촉각적 설득’ : 텔레비전 출현 초기 텔레비전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사회적 수용

원문정보

The ‘Tactile Promptings’ of Television Drama and Nationalism in the 1960s and 1970s : The Early Understanding and Social Acceptance of Television Media on the Emergence of Television in Korean Society

이종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 of television acceptance in Korean society in the early days of the advent of television media, focusing on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television drama producers. Mainly through memoirs and oral materials of personnel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early television dramas, the study aimed to reveal the new experiences that were brought about by early television media,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emergence of television media in Korean society, and to discover how television media intervene in changes in Korean society since the 1960s. In particular, the gap, colli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understanding and approach toward television media in the early days were large since the main agent of the establishm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elevision broadcasting was a public official of the Broadcasting Administration under the Ministry of Public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of the country, while the production of television broadcasting programs was carried out by the producers, directors, actors in the theater and film industries, and the writers of radio broadcasting. Above all, the study mostly considered that the emergen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itself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was a plan for the military government to rule the state. In addition, the study intended to explore how television program producers, despite the poor condition, construct different television production methods from existing media such as theater, film, and radio, what conflicts and negotiations are being made from national planning and control of broadcasting, and what kind of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elevision media were shown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emergence of television media in Korean society by disclosing how these early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of television media are related to changes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한국어

이 연구는 텔레비전 미디어의 출현 초기 한국 사회의 텔레비전 수용양상을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자의 인식과 이해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주로 초기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에 참여했던 인력들의 회고록과 구술자료들을 통해 초기 텔레비전 미디어가 가져온 새로 운 경험과 텔레비전 미디어의 출현이 한국 사회에 갖는 의미, 그리고 1960년대 이후 한 국 사회의 변화에 텔레비전 미디어가 어떻게 개입하고 있는가를 밝혀보고자 했다. 특히 당시 텔레비전 방송의 설립과 운영, 관리의 주체는 국가 중앙행정기관의 하나인 공보부 산하의 방송관리국 공무원이었으며, 텔레비전 방송프로그램의 제작은 연극계와 영화계 연출자와 감독, 배우들, 그리고 라디오방송의 작가들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초기 텔레 비전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접근에서의 간극과 충돌, 갈등은 컸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 다 당시 한국 사회에서 텔레비전 방송의 출현 자체가 군사정부의 국가통치를 위한 기획 이었다는 점이 고려되었으며, 초기 척박한 방송제작환경에서도 어떻게 텔레비전 프로그 램 제작자들이 기존 미디어인 연극이나 영화, 라디오와는 다른 텔레비전 제작의 방식들 을 구축해갔는지, 방송에 대한 국가적 기획과 통제로부터 무엇으로 갈등하고 또 교섭해 가고 있는지, 그 속에서 어떤 텔레비전 미디어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보여주며 제작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나아가 이러한 초기 텔레비전 미디어에 대한 이해 와 경험이 당시 한국 사회의 변동과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한국 사회에 텔레비전 미디어 출현의 의미를 찾아보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목차

요약
1. 시작하는 말
1) 문제의 제기
2) 기존 연구의 검토 및 이 연구의 의의
2. 이론적 논의: 미디어 생태학 이론과 한국 텔레비전 출현의 문화적 맥락
1) 미디어의 출현과 새로운 리터러시의 경험
2) 텔레비전의 촉각성과 수용자의 참여
3) (차가운) 텔레비전 미디어와 (뜨거운) 한국 사회문화의 결합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텔레비전의 국가주의적 설계: 초기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환경과방송 인력의 배치
1) 1960년대 국가주의의 이념적 지형과 국영 텔레비전 계획
2) 1960~70년대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인력
5. 초기 텔레비전에 대한 인식: 영상기술 대 서사기술
1) 영화 같고 연극 같지만 또 다른, 새로운 영상기술: ‘TV적’인 제작 시도
2) 서사기술로서의 가능성
6. 초기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에 대한 이해: 공보 미디어 대 예술 미디어 : 공보에서 예술로, ‘오락’의 발견
1) 공보적 목적과 국책드라마 만들기의 역설
2) 예술적 실험과 드라마 리얼리즘의 추구, 한계에 대한 인식
3) 텔레비전 ‘오락’의 발견과 시청자와의 교감
7. 국가주의와 미디어의 대응
1) 신문의 ‘시각적 해결’
2) 텔레비전의 ‘촉각적 설득’
8.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숙 Jong Sook Lee. 고려대학교 공공사회·통일외교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