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6세기 <만대엽>의 형성 과정과 형성 배경

원문정보

The Formation Process and Background of <Mandaeyeop> in the 16th Century

성기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music pieces included in the 『Hyeongeumdongmunyugi』 (1620) and 『Gugakwongeumbo』 (1651) and included in the 『Geumhapjabo』(1572) by An Sang, thereby revealing the formation process and background of since the early 16th century. In the early 16th century, the ‘Gojo(古調) ’, played using the gyeonganbeob(輕按法; a method of pressing the strings lightly), began to be performed. This piece transformed the yeokanbeob(力按法; a method of pressing the strings with force) used in (大葉) into the gyeonganbeob. Since its creation by the geomungo master Lee Maji in the late 15th century, had been passed down by professional musicians of great skill. However, as the gyeonganbeob was predominant, the challenges of performing using the yeokanbeob on every fret, which were with the more complex and less common, yeokanbeob led to the emergence of the performed with the gyeonganbeop. Characterized by its calm and serene tone, gained popularity among the public after the early 16th century and was further developed by various geomungo players through the insertion of additional melodies. An sang, who adhered to a musical philosophy that rejected new styles, restructured into a form suitable for beginners learning geomungo by removing the added melodies that deviated from the original five-part form and aligning it with a more regular rhythm to facilitate ensemble performance with other instruments. He also systematized various left hand techniques for sigimsae, as notated recorded in the 『Joseongeumbo』, making them accessible even to novices, and thus completed the . This paper reveals that began to be performed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played by many musicians. By the mid-16th century, was restructured by An sang to fit the five-part form, with its playing techniques also being refined, leading to the completion of .

한국어

본고에서는 『현금동문유기』(1620)와 『국악원금보』(1651)에 수록된 <만대엽(慢大葉)> 악곡들과 안상에 의해 『금합자보』(1572)에 수록된 <평조만대엽(금합)>을 분석하여 16세기 초 이후 <만대엽>의 형성 과정과 형성 배경을 밝혔다. 16세기 초 경안법으로 연주하는 ‘고조(古調) <만대엽(慢大葉)>’이 처음 연주되기 시작하였는 데, 이 곡은 역안법(力按法)으로 연주하는 ‘대현4괘궁’의 <대엽(大葉)>의 안법(按法)을 경안 법으로 변화시킨 곡이었다. <대엽(大葉)>은 15세기 후반기 거문고 명수 이마지가 창작한 이래 음악적 기량이 뛰어난 전문음악인들이 전승하였으나, 경안법이 대세이던 당시 모든 괘를 역안 하는 지법들이 보편적이지 않고 어렵다는 한계로 인하여 경안법(輕按法)으로 연주하는 <만대 엽(慢大葉)>이 출현하게 되었다. 평담하고 한원한 성음이 특징인 <만대엽(慢大葉)>은 16세기 초 이후 민간에서 유행하면서 여러 거문고 연주자들에 의해 추가 선율을 삽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변주되었고, 줄을 밀거나 당겨서 연주하는 다양한 지법들도 점차 더 도입되었다. 이에 ‘신성(新聲)을 지양하는 음악관’ 을 가진 안상은 초학자(初學者)를 위한 금보를 편찬하면서 5지 형식을 벗어난 추가 선율을 삭제하고, 다른 악기와의 합주가 가능하도록 절주에 맞추어 <만대엽>의 재구조화를 시도하였 다. 또한 당시 『조성금보』등에 기보된 추성과 퇴성을 위한 다양한 지법을 일부 수용한 후 이를 체계화하여 초학자(初學者)도 이해하기 쉬운 <평조만대엽(금합)>을 완성하였다. 본고의 고찰 결과 <만대엽(慢大葉)>이 16세기 초 연주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여러 연주 자들에 의해 변주되면서 유행하다가 16세기 중엽 안상에 의해 5지 형식에 맞추어 재구조화 되고 지법도 정리되어 <평조만대엽(금합)>으로 완성되었음이 밝혀졌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조(古調) <만대엽(慢大葉)>의 출현과 그 배경
Ⅲ. <만대엽(慢大葉)>을 연주한 연주자와 변주 시도의 증가
Ⅳ. 안상의 <평조만대엽(금합)> 재구조화 및 학금수법 체계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성기련 Sung, Ki-Ryun.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