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고립공포감 (Fear of Missing Out)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광고의 희소성 단서(scarcity cues)와 자기 고양 동기의 효과

원문정보

The Impact of Fear of Missing Out Among Social Media Users on Advertising Attitudes : The Effects of Advertising Scarcity Cues and Self-enhancement Motives

노환호, 윤태웅, 임혜빈, 이병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cial media positively influences communication among individuals and fosters a sense of belonging. However, it can also lead to addiction and dependency on this positive reinforcement, which in turn may result in depression or anxiety due to upward comparisons with others' lifestyles. Additionally, observing the consumption habits of peers can ignite a competitive urge to match this level of consumption and a fear of being left out or missing opportunities, known as the fear of missing out (FOMO). While there has been considerable research on attitudes toward information on social media, studies focusing on the social dynamics inherent in its usage context are sparse.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is phenomenon on attitudes towards social media advertising. Our findings reveal that individuals exhibit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scarcity advertisements compared to popular ads when experiencing FOMO, an effect that is attributed to the motive of self-enhancement. Furthermore, when differentiating scarcity ads into categories of limited availability and uniquenes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nhancement wa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uniqueness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threats encountered in the context of social media use can shape users' attitudes towards advertising.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and its limitations.

한국어

소셜 미디어는 사람들 간의 소통을 높이고 소속감을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하지만 때 로 이와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에 중독되어 소셜 미디어에 의존하게 되거나, 다른 사람의 정보를 접하며 발생한 상향 비교로 인해 우울함이나 불안을 겪기도 한다. 더불어 다른 사람의 소 비를 관찰하는 것은 자신 또한 그와 같은 수준의 소비를 하고 싶다는 경쟁 심리를 유발하고, 자 신이 그 소비에서 배제되거나 기회를 얻지 못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를 고 립공포감(Fear of Missing Out; FOMO)이라고 한다. 소셜 미디어 속 정보에 대한 태도를 다룬 선 행 연구는 많지만,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상황이나 맥락에서 발생하는 경험을 다룬 연구는 많 지 않다. 따라서 이 현상이 소셜 미디어 광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사람 들은 고립공포감을 겪었을 때 인기 광고보다 희소성 광고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이는 자기 고양 동기에 의해 설명되었다. 또한 희소성 광고를 제한된 기회와 독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독특성 광고 조건에서 자기 고양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소셜 미디어 이용 맥락에서 발생한 사회적 위협이 이용자의 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 다. 끝으로 연구 결과의 의미와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소셜 미디어와 고립공포감(Fear of Missing Out; FOMO)
2) 광고 단서 효과: 인기 단서 vs. 희소성 단서
3) 자기 고양 동기의 매개효과
3. 가설 설정
4. 연구 1
1) 연구 방법
2) 연구 결과
5. 연구 2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6. 전체 논의
1) 연구 결과 요약
2)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
3)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ppendix.
Abstract

저자정보

  • 노환호 Noh, Hwan-Ho.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연구교수
  • 윤태웅 Yun, TaiWoong. 인천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임혜빈 Rim, Hye Bin.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부교수
  • 이병관 Lee, Byung-Kwan.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