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자 연구]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경남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원문정보

Effect of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r SMEs in the Gyeongnam Region

김수진, 이상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as the recession caused by COVID-19 slows down, stabilization of the economy and recovery of growth potential are emerging as tasks for the global economy. However, long-term scarring effects such as a tight labor market, decreased productivity, and decreased capital accumulation are raising concerns about the recovery gap between advanced and emerging countries, and large and small businesses. In additio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re in a bleak situation due to the sharp decline in the global production index, long-term recession in the overall industrial economy, the deepening of the US-China conflict, the reorganization of the market order due to AI semiconductors,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cost structure due to the strengthening of ESG. In this situation, SMEs need to strengthen their specialized and concentrated core competencies to secure corporate sustainability. In this study, the core competencies are defined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novation competency adaptation and improvement, and organizational learning competency for maintaining and fostering acquired capabilitie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nd the influence of these competenci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confirmed.

한국어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 현상이 면역 예방 및 방역체계 변화를 통한 위드 코로나(with Corona)로 경제의 안정화와 성장잠재력의 회복이 글로벌 경제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 다. 그러나 코로나 19의 대응 부작용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경색, 생산성 저감, 자본축적 저하 등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상흔효과(scarring effects)는 선진국과 신흥국 간의 회복격차 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회복격차 우려를 발생시키고 있다. 거기에 더해 자국 경제개선 을 위한 전쟁과 같은 국가들의 ‘진영화’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글로벌 생산지수의 급감, 전반적 산업경기의 장기침체, 미중갈등의 심화와 AI 반도체로 인한 시장질서 재편, ESG 강화로 인한 비용구조의 악화 등에 따라 구조가 취약한 중소기업은 암울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중소기업은 전 부문보다는 전문화 되고 집중화된 핵심역량의 강화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그 핵심역량으로 중소기업의 특성 상 경영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빠른 적응과 향상을 위한 혁신역량, 확보된 역량의 유지 및 육성을 위한 조직학습역량을 정의하고 이들 역량과 조직유효성 간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2.1 변혁적 리더십
2.2 혁신 역량
2.3 조직학습 역량
2.4 조직유효성
Ⅲ. 연구 모형과 가설의 설정
3.1 연구 모형
Ⅳ. 실증분석
4.1 표본의 특성
4.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4.3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4.4 가설의 검증
4.5 매개효과의 분석
Ⅴ. 결론
5.1 연구의 결과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진 Su-Jin Kim. 창원대학교 신산업융합경영학과 교수
  • 이상용 Sang-Yong Lee. 케이챔프전략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