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Mask Contamination Analysis Used by Chemicals Handler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ask contamination used by chemicals handlers and share the results to provide guidelines for proper mask use. Masks used by chemicals handlers handling hazardous chemicals such as xylene and formalin were collected (n=48). CFU was measured, and bacterial species were identified through DNA sequencing. The CFU in inside and outside of masks were 7.6×107 and 1.1×107, respectively (t=3.68, p=0.04). In inside the mask, 83.3% of Staphylococcus, 8.3% of Streptococcus, 4.2% of Bacillus, and 4.2% of Macrococcus species were found. In outside the mask, 81.3% of Staphylococcus, 6.3% of Lysinibacillus, 6.3% of Bacillus, and 6.3% of Moraxella species were found. The average of mask-wearing time was 15.8±4.8 h, with individual variation ranging from a minimum of 0.5 hours to a maximum of 72 hours. There were no correlation (r=-.103, p=0.727) between mask-wearing time and inside of mask contamina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r=.622, p=0.018) between mask-wearing time and outside of mask contamination. Most of the mask pollutants were human-derived bacteria, suggesting that wearing of contaminated masks could cause secondary infection to users.
한국어
본 연구는 화학물질 취급자들이 착용했던 마스크의 세균 오염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올 바른 마스크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자일렌, 포르말린 등 흡인 위험이 있는 화학 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자들로부터 착용했던 마스크(n=48)를 회수하였다. 마스크 내·외면의 생균 수를 측정하고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세균 종을 확인하였다. 마스크 내면과 외면의 생균 수는 각각 7.6×107, 1.1×107CFU로 마스크 외면보다 내면의 세균 오염도가 유의하게 높았다(t=3.68, p=0.04). 마스크 내면에서는 Staphylococcus 83.3%, Streptococcus 8.3%, Bacillus 4.2%, 그리고 Macrococcus 종이 4.2% 발견되었다. 마스크 외면에서는 Staphylococcus 81.3%, Lysinibacillus 6.3%, Bacillus 6.3%, 그리고 Moraxella 종이 6.3% 발견되었다. 회수된 마스 크의 평균 착용 시간은 15.8±4.8시간으로 최소 0.5시간부터 최대 72시간까지 사용자 간의 개인 편차가 심하였다. 마 스크 착용 시간과 내면 오염도는 상관성이 없었고(r=-.103, p=0.727), 외면 오염도와는 보통의 양의 상관성(r=.622, p=0.018)을 보였다. 마스크 오염원의 대부분은 인체 유래균이었으며 오염된 마스크의 착용은 사용자로의 2차 감염 을 야기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2.1 대상자 모집
2.2 생균 수 측정
2.3 세균 종 확인
2.4 데이터 분석
Ⅲ. 결과
3.1 최종 샘플
3.2 생균 수
3.3 세균 종
3.4 마스크 착용시간과 세균 오염도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