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Factors Influencing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anxiety, health promotion behaviors, marital intimacy, and fetal attachment among 128 pregnant women in one cit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ir fetal attachment.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7.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etal attach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marital intimacy, and inversely related to anxiety. The factors that influenced fetal attachment were health promotion behaviors (β=0.42, p<.001) and gestational age (β=-0.17, p=.026),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29.4%.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pregnant women's fetal attachment by implemen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at gradually intensify from early to late pregnancy.
한국어
본 연구는 일 지역 임부 128명을 대상으로 불안, 건강증진행위, 부부친밀감, 태아애착 정도를 파악하고 태 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 계방법,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 였다. 연구 결과, 태아애착은 건강증진행위, 부부친밀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불안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 다.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증진행위(β=0.42, p<.001), 임신 주 수(β=-0.17, p=.026)이었으며, 이들 의 총 설명력은 29.4%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임부의 태아애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임신초기부터 후기 까지 점차 강화되는 건강증진행위를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Ⅱ. 연구 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자료수집
2.4 연구 도구
2.5 자료 분석
2.6 윤리적 고려
Ⅲ. 연구 결과
3.1 일반적인 특성과 산과적 특성에 따른 태아애착의 차이
3.2 불안, 건강증진행위, 부부친밀감, 태아애착 정도
3.3 불안, 건강증진행위, 부부친밀감, 태아애착의 상관관계
3.4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