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고려전기 관인의 외관 관력에 대한 인식과 의미

원문정보

Awareness and Meaning of the Career of Local Officials in Goryeo Dynasty

최은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oryeo established a local system and dispatched local officials from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for efficient local governance. In examining biographical records of officials, such as those found in the Goryeosa (History of Goryeo) and epitaphs, one can easily find references to officials’ experience as local administrators. When officials were dispatched to local regions and implemented good governance, records of these actions can be found. These records serve as important sources for understanding how local administrators were perceived during the Goryeo period. Officials endeavored to implement good governance in their assigned regions, as this laid the foundation for their promotion when they returned to Gaegyeong after completing their term. It was a measure taken by the state to dispatch officials to the provinces, especially in a situation where local officials were less preferred than central officials. It was perceived as a valuable opportunity for officials to demonstrate their abilities by directly governing a region. The achievements that local officials accumulated in the provinces were utilized in personnel administration. The anchalsa conducted evaluations annually, assigning performance ratings, and these records were included in the jeongan (personnel records). The achievements recorded in the jeongan (personnel records) awaited opportunities to be utilized for the official's promotions throughout their career. These practices were formalized during the reigns of King Yejong and King Injong, influencing officials to accept assignments as local administrators without reluctance.

한국어

고려는 효율적인 지방지배를 위해 국초부터 지방제도를 구축하고 외관을 파견하 였다. 『고려사』 열전 및 묘지명 등 관인의 전기 기록을 살펴보면, 관인의 외관 관력 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관인이 지방에 나갔을 때 선정(善政)을 베풀고 그것 이 기록된 경우를 살펴볼 수 있는데, 이는 고려의 외관 인식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관인은 부임지에서 선정을 베풀기 위해 노력하였는데, 이는 임기를 마치고 개경 으로 돌아갔을 때 승진을 위한 밑바탕이 되었다. 외관이 경관보다 선호되지 않는 상황에서 국가가 관인을 지방으로 파견하기 위해 단행한 조처였다. 관인이 직접 지역 을 다스림으로써 능력을 발현하기 좋은 기회로 인식된 것이다. 관인이 지방에서 쌓은 치적은 인사행정에서 활용되었다. 안찰사가 1년마다 고과 하여 전최를 매기고 그 자료는 인사기록인 정안에 실렸다. 정안에 실린 공적은 관인 의 평생동안 승진에 활용될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예종⋅인종대에 구체화되어 관인이 외관에 임명될 때 거부없이 나가게 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목차

1. 머리말
2. 관인의 외관 관력 기록의 검토
3. 관인의 외관 관력 기록에 대한 인식과 활용
4.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최은규 Choi, Eun kyu.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