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감성디자인 구현을 위한 플라스틱 필름 표면의 거칠기와 감각 특성의 상관관계 도출

원문정보

Correlation of Texture and Sensory Analysis on Film Surfaces for Implementing Emotional Design

김도엽, 이용주, 주민정, 유하경, 김형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packaging is promoting the products. Competitive markets demand that products appeal more to consumers in many perspectives. Other than its original purpose, which is protection, packaging has been tasked with implementing the emotional appeal of a product through unique shapes, textures, and visual designs. Understanding emotional appeals to consumer is a potential marketing strategy so that research have been done about techniques to visualize the design and print the specific textures. Especially, paper-like films are known as eco-friendly or emotional design and they are able to protect the products from oxygen or water vapor better than papers. In this study, paper-like films, which is printed with inks to have rougher surfaces, are analysed in terms of roughness, friction, imaging and sensory evaluation of subjective softness from consumers. Also, the prediction model was established with the correlation of the measured results and sensory panel test (SPT) of consumer preferences by tou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diction of subjective texture preference was contributed by 63.9% for surface roughness and 36.1% for friction profile parameters. It confirmed that surface roughness characteristics should be prioritized to improve tactile preference for paper-like films.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플라스틱 필름에 종이 같은 거친 질감을 부여하기위해 필름 표면에 질감 처리를 하여 인쇄된 필름 의 이미지, 거칠기 및 마찰 분석, 소비자의 주관적 부드러 움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 하였다. 또한 정량 지표와 촉감 선호도 조사를 반영하여 소비자 촉감 선호도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SEM분석에서 질감바니쉬 인쇄필름의 평균 입 자 크기가 무광인쇄필름의 평균 입자 크기보다 큰 것을 확 인하였다. 이는 질감바니쉬 처리공정에서 유색안료가 입자 의 크기를 키운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AFM 분석에서 질 감바니쉬 인쇄필름의 대부분의 거칠기 파라미터에서 높은 거칠기를 나타내 입자크기가 거칠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접촉각 및 표면에너지에도 유사한 경향성이 나타났는데, 질감바니쉬 인쇄필름의 접촉각이 가장 컸고, 표 면에너지가 가장 낮았다. 이 역시 입자크기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확인되며 인쇄성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AFM을 활용한 Ra 값은 질감처리방법에 따라 데이터의 편차가 발 생하였지만, 표면 거칠음도 프로파일 파라미터에서는 실험 재현성에 있어 안정적인 파라미터인 R-MAD값 분석을 통 해 거칠음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표면 마찰 프로파일 파라미터에서 MIU와 F-MAD의 결정 계수가 낮게 확인되어 두 파라미터는 독립적인 지표로 간 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 거칠음도 프로파일 파라 미터와 마찰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비교 분석하였을 때 표 면 거칠음도와 표면 마찰의 상관계수는 낮았으며 이에 따 라 재료의 표면 특성화에 있어 두 파라미터가 상호 독립적 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PT 수행결과와 표면 프로파일 파라미터 (GM)을 비교하 였을 때 소비자의 촉감 선호도 증진과 감성디자인 구현을 위해서는 표면 거칠음도의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분석되 었으며 종이 질감과 유사한 질감이 구현될수록 선호도가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 프로파일 파라미터를 독립변 수로 사용하여 구축된 질감 선호도 예측 모델의 경우 1-P Model 와 2-P Model에 대하여 결정계수는 각각 0.945 및 0.989를 기록하여 2-P Model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두 모델간의 결정계수가 유사하게 측정 되었기 때문에, 분석 시간 및 입력 변수 등의 효율성을 고 려하였을 경우 거칠음도 파라미터 단독의 모델의 효용성 역 시 준수할 것이라 판단된다. 2-P Model에서 주관적인 질감 선호도 예측 기여도는 표면 거칠음도 63.9%, 마찰 프로파 일 파라미터는 36.1%로 분석 되었다. 따라서 소비자의 촉 감 선호도 향상을 위해서는 거칠음도 특성을 우선적으로 고 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모델을 통하여 거칠음도 혹 은 마찰 특성의 조정에 따라 소비자의 포장지 질감 선호도 개선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감성디자인 포장지의 인쇄 설계 및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다양한 질감 처리 방식에도 해당 모델을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재료
2. 질감처리방법
3. 이미지 분석
4. 표면 특성 분석
5. 촉감 선호 정량 평가
6.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이미지 분석
2. 표면 특성 분석
3. 촉감 선호 정량 평가
요약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도엽 Do Yeop Kim.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이용주 Yong Ju Lee. 국민대학교
  • 주민정 Minjung Joo.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유하경 Ha Kyoung Yu. 소프트팩㈜
  • 김형진 Hyung Jin Kim. 국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