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단

일본 고도성장기의 ‘집단취직’과 3대 도시권으로의 인구이동

원문정보

Group Employment during the Period of High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Movement to the Three Major Cities of Japan

김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collective employment,” which was practic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during Japan’s high economic growth period, on the decline of local population in Japan. To do so, this study utilizes empirical data on the social growth rate of local populations and presents the changes in the size of the “collective employment” population using data from the Basic School Survey. In additio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mployment” and the problem of regional population decline in contemporary Japan, we used national census data to compare the social population growth rate from 1960 to 2020 in regions other than the three major urban areas with the proportion of “collective employment” in each region.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overlap between prefectures analyzed as experiencing a sharp decline in population and regions with a high proportion of “collective employment,” and that the social growth rate of most of these regions has never turned positive since “collective employ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ural decline” resulted from structural, long-term change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influx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alone, and that focusing solely on the influx of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not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rural declin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고도경제성장기 동안 장기간에 걸쳐 실시되었던 ‘집단취직’이 일본의 지역 인구 감소에 미친 영향을 경험적 자료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지역 인구의 사회적 증가율 추이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고, ‘집단취직자’ 규모의 추이를 학교기본조사 자료 를 통해 제시했다. 또한 ‘집단취직’이 현대 일본 지역 인구 감소 문제와 갖는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국 세조사 자료를 통해 3대 도시권을 제외한 기타지역의 1960년부터 2020년까지의 사회적 인구 증감율 추이를 각 지역의 ‘집단취직자’ 비율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인구가 급감할 것으로 분석되 는 도도부현과 ‘집단취직자’의 현외 취업 비율이 높은 지역이 상당부분 겹쳐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들 지역 대부분의 사회적 증가율이 ‘집단취직’ 이후 한 번도 양의 값으로 전환되지 못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방소멸’이 가임기 여성의 인구 유입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구조적이고 장기적인 변화의 결과였다는 점과 지역인구 감소 문제에 대한 대책 역시 가임기 여성의 유입에만 집 중하는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목차

1. 문제제기
2. 3대 도시권과 기타 지역의 인구증가율 추이와 그 특징
3. 인구의 사회적 증가 관점에서 본 고도성장기 ‘집단취직’
1) ‘집단취직’의 정의와 규모
2) ‘집단취직’을 바라보는 관점
3) ‘집단취직’ 이후 3대 도시권과 기타 지역의 인구추이
4. 결론 및 향후 과제

저자정보

  • 김지영 KIM JiYoung.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