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곡 정제두와 소론계 주자학자들의 양명학 논변

원문정보

Debate on Yangming Studies between Hagok Jeong Je-du and Soron Neo-Confucian Scholars

한정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ebate on Yangming studies 陽明學 between Jeong Je-du and the Soron 小論 faction of neo-Confucian scholars holds primary significance as the first substantial debate on Yangming studies in the history of Joseon thought. The stances of both sides involved in this debate are clear: Soron scholars criticize Yangming studies as heretical, while Jeong Je-du defends Yangming studies asserting that it embodies the true meaning of Sage’s Learning 聖學. This article examines the major issues and content of the debate on Yangming studies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Jeong Je-du’s defense of Yangming studies. In particular, by focusing on how Jeong Je-du’s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deepened, expanded, and specialized in the process of his defense, it aims to elucidate Jeong’s unique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that exhibits Korea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debate on Yangming studies, Jeong Je-du achieved three major achievements. First, he deepened and expanded his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criticism from Zhuxi scholars, he gained a deeper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main theories and established the doctrinal lineage theory from the viewpoint of Yangming studies based on Confucian classics, culminating in his work, “Hakbyeon” 學辯. Second, he explained the main concepts and theories of Yangming studies using the key concepts and theories of Joseon neo-Confucianism.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interpreting ‘innate knowledge’ 良知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inciple of life’ 生理 and explaining the theory of ‘innate knowledge itself and its function’ 良知體用 using the theory that ‘nature is substance and emotion is function’ 性體情用. By explaining ‘innate knowledge’ with the ‘principle of life’, Jeong Je-du merged ‘benevolence’ 仁 and ‘innate knowledge’ within the concept of the ‘principle of life.’ This effort signifies his attempt to integrate Mingdao studies 明道學 and Yangming studies, holding considerable historical importance. Third, Jeong Je-du reinterpreted major topics of Joseon neo-Confucianism based on Yangming studies. He offered new explanations for the Four-Seven Debate 四端七情論 and the theory of Zhong-He 中和 based on the theory of ‘innate knowledge itself and its function. These efforts highlight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ons of Hagok studies distinguishing it from Chinese and Japanese Yangming studies.

한국어

정제두와 소론계 주자학자들 사이에 전개된 양명학에 관한 논변은 조선사상사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본격적인 ‘양명학논변’이라는 점에서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 이 논변에 참여하는 양 진영의 입장은 분명하다. 소론계 주자학자들은 양명학을 이단으로 비판한다. 반면에 정제두는 양명학이 성학(聖學)의 바른 뜻을 얻었음을 확인하는 입장에서 양명학을 변호한다. 이 글에서는 ‘양명학논변’의 주요 쟁점과 그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정제두의 양명학 변호의 특징과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특히 양명학 변호 과정에서 정제두의 양명학 이해가 심화⋅확대⋅특화되는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그의 양명학관의 한국적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 양명학논변을 통해 정제두는 크게 세 가지의 성과를 거둔다. 첫째는 양명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확대시켰다는 점이다. 주자학자들의 비판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양명학의 주요 이론에 관한 이해가 심화되었으며, 양명학이 성학임을 경전에 근거하여 논증하는 과정에서 양명학적 도통론을 수립하였다. 이것은 「학변(學辯)」으로 결실을 맺게 된다. 둘째는 조선성리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활용하여 양명학의 주요 개념과 이론을 설명한 것이다. ‘생리(生理)’로 ‘양지’를 해석한 것, 그리고 ‘성체정용(性體情用)’론으로 ‘양지체용’론을 설명한 것이 대표적이다. ‘생리’로 ‘양지’를 설명함으로 해서 정제두는 ‘인(仁)’과 ‘양지’를 ‘생리’ 개념 가운데 융합시킨다. 이것은 그가 명도학과 양명학의 통합을 시도했다는 사상사적 의미를 지닌다. 셋째는 조선성리학의 주요 논제를 양명학에 입각하여 해명한 점이다. 정제두는 사단칠정론과 중화론을 양지체용론에 입각하여 새롭게 해명한다. 이것들은 중국양명학이나 일본양명학과도 구분되는 하곡학의 특징이자 공헌이라고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양명학논변의 발단과 그 동기 및 목적
3. 양명학논변의 주요 주제와 내용
4. 양명학 논변의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정길 HAN Jeong Gil.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