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火魔와 신라의 장식기와

원문정보

The Fire Demon and Decorative Roof Tiles of Silla

화마와 신라의 장식기와

한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esign of ancient crafts sought to adopt patterns suitable for use to pursue visual beauty while giving the object supernatural power. Therefore, the interpretation of the symbol of the craft pattern begins wit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craft that adopts it and the pattern. The Jigui Narrative, formed against the backdrop of Silla's Yeongmyo Temple, where fires were frequent, shows that ancient people perceived the cause of the fire as a supernatural force, or the work of fire ghost.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terns of the Silla tile, the core of the patterns adopted in the decorative roof tile were all expressions symbolizing water and wings, and were interpreted as containing the meaning of Byeoksa to protect the building from the threat of fire. As a symbol of the ability to avoid fire, Chimi, derived from the tail of a flying beast, combines with the symbol of water that suppresses fire, such as lotus, well, and dragon. In particular, the lotus and human faces carved on the chimi found in Hwangryongsa Temple Site are interpreted as expressing the Pure Land reborn who spontaneously generate on the Lotus Flower in the Chilbo pond of Amitāyurdhyāna Sūtra.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Gyeongju Face-Patterned Sumakbird" excavated from Yeongmyosa Temple Site, widely known as the "Smile of Silla," also expresses the face of the Pure Land reborn who spontaneously generateon a lotus flower in the world of paradise.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the Buddhist temple where these two decorative roof tile were used met the symbolic meaning of Nine Grades of Lotus Ponds of Pure Land and the protective function to suppress the threat of fire.

한국어

고대 공예의 의장은 쓰임새에 적합한 문양을 채택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동시 에 그 물건에 초자연적인 힘이 부여되기를 추구했다. 그러므로 공예 문양의 상징에 대한 해석은 그것을 채택한 공예품의 쓰임새와 문양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화재가 빈번했던 신라의 영묘사를 배경으로 형성된 지귀설화는 고대 사람들이 화재의 원인을 초자연적인 힘 즉, 불귀신의 소행으로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신라 기와의 문양을 분석한 결과 장식기와에 채택된 문양의 핵심은 모두 물과 날개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화마의 위협 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벽사적 의미가 담긴 것으로 해석했다. 불을 피하는 능력의 상징으로 날짐승의 꼬리에서 유래한 치미는 연꽃, 우물, 용 등 불을 진압 하는 물의 상징과 결합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황룡사지에서 발견된 치미에 새겨진 연화문과 인 면문은 『관무량수경』의 칠보연못에서 화생하는 왕생자를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통해 ‘신 라인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영묘사지 출토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 역시 극락세계의 연꽃에서 화 생한 왕생자의 얼굴을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장식기와가 사용된 불전은 극락세 계의 구품연지라는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화마의 위협을 진압하는 벽사적 기능을 동시에 충족시 킨 것으로 해석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 신라의 영묘사와 불귀신 志鬼
Ⅲ . 신라 장식기와의 문양을 관통하는 상징
Ⅳ. 신라의 치미에 보이는 날개와 물의 결합
Ⅴ . 영묘사지 출토 얼굴무늬수막새와 황룡사지 치미
Ⅵ.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한정호 Han Joung Ho.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