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명작무 산조춤의 공간기호학적 의미 분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atial Semiotics Analysis of the Myeongjakmu (Korean Masterpiece Dance) Sanjo Dance Activation

함선호, 윤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xamine No. 1 Kim Jin-Geol 「Sanjo」 and No. 19 Jeong Jae-Man 「Sanjo (CheongPungMyeongWol)」, which were selected as masterpieces among many other ‘Sanjo dance’ – dances that both accept and transform tradition –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dance’s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discursive meaning. The research method adopted spatial semiotics because the actions of Sanjo dances produce various meanings depending on their spatial composi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anjo rhythms include Jinyang, Jungmori, Jungjungmori, and Jajinmori.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im Jin-Geol 「Sanjo」, which was first created in 1953, and Jeong Jae-Man 「Sanjo(CheongPungMyeongWol)」, which began in the late 1990s, in terms of their utilization of stage space. Compared to Kim Jin-Geol 「Sanjo」, Jeong Jae-Man 「Sanjo (CheongPungMyeongWol)」had more diverse floor patterns and compositional structures and showed the incorporation of fans as props in dancers’ mov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universal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Sanjo dances, and is valuable in recognizing the re-creations and contemporary values of traditional dances.

한국어

본 연구는 전통의 수용과 변용을 보이는 대표적인 춤 ‘산조춤’ 가운데 명작무로 선정된 1호 김진걸 「산조」, 19호 정재만 「산조(청풍명월)」을 대상으로 장단 별 각 춤의 구조적 분석과 특질, 담론적 의미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공간기호학을 수용하였는데 산조춤의 행위가 공간 구성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양산한다는 점에서 비롯되었다. 연구결과 산조 장단을 바탕으로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로 확산되 고, 1953년 처음 만들어진 김진걸 「산조」와 1990년 후반 시작된 정재만 「산조(청풍명월)」 는 창작 시기에 따라서 무대 공간적 활용의 특질에 구분되는 차이점이 있었다. 김진걸 「산조」에 비해 정재만 「산조(청풍명월)」의 무대 동선과 구도는 더욱 다양하게 확대되었 고 소도구로 부채를 활용한 움직임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명작무 산조춤의 보편적 가치와 특질을 살펴 산조춤의 확장적 의미를 찾는 데 의미가 있으며, 전통춤의 재생산과 동시대적 가치를 인식하는데 가치가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기호학의 개념적 의미
2. 공간 기호학적 방법을 통한 무용분석
Ⅲ. 산조춤의 개념적 정립과 공간에 따른 의미 분석
1. 산조춤의 형성과 그 전개 양상
2. 장단에 따른 공간 활용의 의미 분석
3. 장단별 구성에 따른 두 산조춤의 비교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함선호 Ham Seonho. 숙명여자대학교 무용과 강사
  • 윤혜정 Yun Hyejeong. 서울시무용단 단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