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寄稿 論文

성철 법맥의 재인식

원문정보

Re-recognition of Seongcheol’s legal lineage

김광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n article that poetically discusses the issue of the dharma lineage of Seongcheol(성철법맥), a famous monk in the history of modern Buddhism in Korea. So far,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Seongcheol in terms of his practice and ideology, and academic light has been shed on his characteristics and status. However, there was no light on his legal lineage covered in this article.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the legal system is sensitive and related literature is scarce. Nevertheless, in this article, the author seeks to expose various problems in Seongcheol’s dharma lineage by mobilizing all relevant literature and testimonies on ‘Seongcheol’s dharma lineage.’ To this end, the author focused o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contents of the dharma lineage recognized by Seongcheol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general summary of dharma lineage succession. Second, the issue of Baek Yong-seong'(백용성)s legal lineage, which is the origin of Seongcheol's legal lineage, was organized.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Baek Yong-seong's lineage and lineage were passed on to Dongsan(동 산, Beomeosa Temple). Third, it was established that the Dongsan Dharma lineage was passed on to Seongcheol. As related literature, we introduced Beophyeon's shocking article contributed to 󰡔Korean Buddhism󰡕 in May 1965. And Park Seok-woo, who criticized him, introduced an article he contributed to 󰡔Korean Buddhism󰡕 in June 1965. Fourth, Baek Yong-seong's dharma lineage was cut off from Dongsan, and Seongcheol's writings, which fiercely criticized Beopyeon's writings, which were also suspicious of Dongsan's dharma, were discovered and introduced. The article, written by Seongcheol around the fall of 1965, takes into account the history and practices of Zen Buddhism and expresses that the lineage of the law that leads to Baek Yongseong and Dongsan is clear, and that the lineage of the line of law implicitly lies in Seongcheol. Fifth, although there is no text of Jeonbeop that Dongsan delivered to Seongcheol,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letter from around 1963 in which Dongsan designated Seongcheol as his successor and entrusted him with the care of Beomeosa Temple. Sixth, supplementary information was discovered to help us understand that the Dharma lineage of Dongsan was passed down to Seongcheol. He includes the testimony of Deokmyeong, who served as the abbot of Beomeosa Temple (Seongcheol's invitation to Beomeosa Temple's Josil), the disciples' public opinion immediately after Dongsan's funeral ceremony (Seongcheol should be promoted as Dongsan's successor), the recognition of Seongcheol as the author of the Dongsan epitaph, and Seongcheol's support for his disciples. These include the strong rejection of Inhyanggok's attempt to incorporate Unbongmundo, and the fact that Seongcheol visited the stupa of Dongsan, a royal monk, just before his death. This testimony can be seen as a supplementary example that allows us to understand that Seongcheol inherited the legal lineage of Dongsan. This study, which covers the above contents,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line of law that leads to Baek Yong-seong, Dong-san and Seong-cheol. Furthermore, it will be a reference for research on the modern history of Beomeosa Temple and Haein Temple, the history of Korean Zen Buddhism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and Seongcheol.

한국어

본 고찰은 한국 현대불교사에서 고승으로 유명한 성철의 법맥에 대한 문제를 시론적으로 거론한 글이다. 지금껏 성철에 대해서는 수행과 사상적 인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그의 특성, 위상에 대한 학술적인 조명 이 있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그의 법맥에 대한 조명은 없었 다. 이는 법맥의 문제가 민감하고, 관련 문헌 자료가 희소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이 글에서 ‘성철법맥’에 대한 관련 문헌, 증언 을 총동원하여 성철의 법맥의 여러 문제를 들추어 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측면을 주목하였다. 첫째, 보편적인 법 맥계승의 정리와 함깨 성철이 인식한 법맥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성 철 법맥의 연원인 백용성의 법맥 문제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백용성의 계맥과 선맥이 동산(범어사)에게로 전달되었음을 피력하였다. 셋째, 동산법 맥이 성철에게 전달되었음을 정리하였다. 이에 대한 관련 문헌으로 1965 년 5월, 󰡔대한불교󰡕에 기고한 법연의 충격적인 글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그에 대해 비판한 박석우가 󰡔대한불교󰡕에 1965년 6월에 기고한 글을 소개 하였다. 넷째, 백용성의 법맥이 동산에게서 단절되었고, 동산의 법도 의심 을 하였던 법연의 글을 치열하게 비판한 성철의 글을 발굴 소개하였다. 1965년 가을 무렵에 성철이 집필한 그 글은 선종의 역사, 관행을 고려하 면서 백용성 – 동산으로 이어진 법맥은 분명하고, 그 법맥이 은연중 성철 에게 있음을 피력한 것이다. 다섯째 동산이 성철에게 전한 전법게문은 없 지만 1963년 무렵 동산이 자신의 후계자를 성철로 지정하고, 범어사 조실 을 맡긴 편지가 있음을 밝혔다. 여섯째, 동산의 법맥이 성철에게 전해졌음 을 이해할 수 있는 보충적인 내용을 발굴하였다. 그는 범어사 주지를 역임 한 덕명의 증언(범어사 조실로 성철의 초빙), 동산의 영결식 직후의 문도 들의 공론(성철을 동산의 후계자로 추대해야 함), 동산 비문을 쓴 성철의 인식, 성철이 그의 도반인 향곡이 시도한 운봉문도 편입을 강력 거부한 것, 성철이 입적 직전에 은사인 동산의 부도를 참배한 사실 등이다. 이런 증언은 성철이 동산의 법맥을 계승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는 보충적인 사 례로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다룬 이 고찰은 백용성– 동산–성철로 이어진 법맥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서 범어사와 해인사의 현대사, 근현대 기 한국 선종사, 성철 연구에 참고가 될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
Ⅰ. 서언
Ⅱ. 성철의 법맥 인식
Ⅲ. 동산의 법맥 전수
Ⅳ. 동산법맥의 전승, 성철 법맥의 계보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광식 Kim, Gwang-sik. 대각사상연구원 연구부장, 전 동국대학교 특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