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寄稿 論文

『구사론법의(俱舍論法義)』의 「파아품(破我品)」 별론설Ⅰ

원문정보

A distinct treatise theory of Ātmavāda-pratiṣedha presented in Kusharon-HogiⅠ

김남수(해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bhidharmakośabhāṣya written by Vasubandhu, is a treatise that outlines the ideas of abhidharma based on Sarvastivada. Traditional annotations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three-part structure of Abhidharmakośabhāṣya In Guangji(光記), one of the three well-known commentaries of Abhidharmakośabhāṣya, the author suggests that Ātmavāda-pratiṣedha (CHAPTER NINE) has a separate three-part structure, differing from the other two commentaries. This distinction is due to the different perspectives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bhidharmakośabhāṣya and Ātmavāda-pratiṣedha Identifying Ātmavāda-pratiṣedha's characteristics is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layout of Vasubandhu’s philopophies, not just Abhidharmakośabhāṣya. Kaido(快道), a Japanese scholar monk, argues in his work Kusharon-Hogi(倶舎論法義), through a literature approach centered on the narrative system, format, and related phrases, that Ātmavāda-pratiṣedha is a distinct treatise written independently of Abhidharmakośabhāṣya. He claims the last three songs of the seven words and fours songs in the latter part of Samāpatti-nirdeśa(定品) are the introduction for Ātmavāda-pratiṣedha based on six grounds. He then presents four rationales and three doctrinal(literature) grounds that Ātmavāda-pratiṣedha is a distinct treatise, and provides explanations for the six suspicions, in the form of question and answer. Finally, he points out the errors of predecessors. In response, later scholars have raised theories of objection, support, and compromise. Regarding Kaido(快道)'s argument, the perspectives of later researchers provide insufficient information that allows for only partial estimation and no detailed consideration of Hogi(法義)'s content has been made. In this paper,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four rationales and the three doctrinal grounds in distinct treatise theory of Ātmavāda-pratiṣedha by Kaido(快道), which have been revealed only partially, is provided, and an analysis and a review of the theory are presented. Hopefully this will help the understanding of existing research on Ātmavāda-pratiṣedha(CHAPTER NINE) advances.

한국어

세친(世親)의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를 근간으로 부파불교의 사상을 개괄한 논서이다. 전통적인 주석가들은 『구사론』의 삼분과(三分科)에 대해 일치하지 않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구사론』의 대표적인 주석서인 『광기(光記)』에선 다른 두 주석서와 달리 「파아품(破我品)」이 별도의 삼분과의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해설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구사론』과 「파아품」의 관계를 규정하는 관점에 따른 것이다. 「파아품」의 성격 규명은 『구사론』뿐 아니라 세친 사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기 위한 선결문제이기도 하다. 일본의 쾌도(快道)는 『구사론법의(俱舍論法義)』에서 서술체계·형식·연관 문구 등을 중심으로 한 문헌적 접근을 통해 「파아품」은 『구사론』과 독립적으로 지어진 『파아론(破我論)』이란 논서라 주장한다. 그는 「정품(定品)」 후반의 7언 4송 중에서 뒤의 3송을 ‘『파아론』의 발기서(發起序)’라 규정하고 6종의 근거를 제시한다. 이어 『파아론』이 별도의 논이라는 4종의 이치적 근거와 3종의 교설(문헌)적 근거를 제시한 뒤, 문답의 형식을 빌려 6종의 의혹을 해명하고, 마지막으로 선대의 오류를 지적한다. 이에 대해 후대의 학자들은 반론설과 지지설과 절충설을 제기하고 있다. 쾌도의 주장에 대해서는 후대 연구자의 견해에서 단편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만 제공되고 있을 뿐 『법의』의 내용에 대한 상세한 고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선 그간 단편적으로만 드러났던 쾌도의 「파아품」 별론설에서 4종의 이치적 근거와 3종의 교설적 근거에 대한 한글 번역을 제공하고 분석과 검토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파아품」에 대한 기존 연구에 대한 이해가 진일보하기를 바란다.

목차

한글요약
Ⅰ. 서언
Ⅱ.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삼분과(三分科)와「파아품(破我品)」
1. 신태(神泰)와 법보(法寶)『구사론소(俱舍論疏)』의 삼분과
2. 보광(普光)『구사론기(俱舍論記)』의 「파아품」 별도분과
Ⅲ. 『구사론법의(俱舍論法義)』의 『파아론(破我論)』제시
1. 『구사론법의』의 삼분과 이해와 『파아론』제시
2. 『파아론』을 제시하는 근거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남수(해진) Kim, Nam Soo(Ven. Hae Ji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