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寄稿 論文

『증일아함경』과 『정토삼부경』을 중심으로 한 화소(話素)의 공유와 재해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haring and Reinterpretation of Motif, Focusing on the Ekottara Āgama and the Pure Land Stura

최재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at the concepts of Amitabha Buddha and Sukhāvatī that appear in Three Scriptures on the Pure Land are based on the concepts of Dharmakāya and Wuweichu handed down from early Buddhism, and that they emerg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explaining them.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multiple Buddhas, the concept of other Buddha lands, and the concepts of the Dharmakāya and Wuweichu, which are mainly confirmed in the Zengyi Ahan Jing, a tradition of Mahāsāṃghika, which is one of the branches of Buddhism that is pointed out to be related to Mahāyāna Buddhism, are from the early Buddhism to the period of Early Buddhist Schools. It shows that, as the prototype of the concept of Amitabha Buddha and the Pure Land of Paradise, it already existed within existing Buddhism, centering on Mahāsāṃghika. Among the Mahāyāna movement groups that appear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Mahāyāna movement took place, Mahāyāna activist monks belonging to the Mahāsāṃghika among the existing Early Buddhist Schools began a mass movement centered on the various concepts that started in early Buddhism and were passed down through Mahāsāṃghika, and they were transmitted accordingly. Three Scriptures on the Pure Land emerged as ideas and practice methods were independently re-edited and applied in practice. At the same time, the concepts of Dharmakāya and Wuweichu, which existed fragmentarily,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in the form of Amitabha Buddha and the Pure Land of Paradise in accordance with the ideology of the Mahāyāna movement, starting from Amitabha Sutra and Infinite Life Sutra, which were established early in Three Scriptures on the Pure Land. It is confirmed that it continued until Amitāyurdhyāna Sutra, which was established quite later. As a result, the basic concept of Amitabha Buddha and Sukhāvatī did not originate from the doctrines or ideas of other religions, but was based on concepts handed down from Early Buddhism, and later, with the rise of the Mahāyāna movement, the modern ‘The Teaching of Buddha’. Just as the Tripitaka is organized/summarized according to a certain sense of purpose in compilation, it can be seen as something that naturally emerged in the process of systematizing and organizing existing doctrines while reinterpreting existing traditions.

한국어

이 논문은 『정토삼부경』에서 나타나는 염불과 정토에 대한 관념은 대승불교의 창작이 아니라 초기불교로부터 계승되었고 부파불교와 공유하는 화소(話素)이며, 동시에 대승 운동 측에서 어떻게 이를 대승불교의 관점에서 이미징하였는지를 연구한다. 특히 부파불교 중 대승불교와 관련성이 지적되는 부파 중 하나인 대중부의 전승인 『증일아함경』에서 중점적으로 확인되는 화소들인 다불과 타방 불국토, 무시무종의 법신과 무위처라는 요소들은 초기불교 시대는 물론 부파불교에서도 이미 대중부를 중심으로 기존 불교 내부에 대승 정토사상과 공유하는 화소들이 존재했었음을 보여 주는 문헌적 근거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대승 운동이 일어나는 시기에 나타나는 대승 운동 집단들 중 기존 부파불교 중에서 대중부 소속의 대승 운동가 승려들이 초기불교에서 시작되어 대중부를 중심으로 전승되던 여러 화소들을 중심으로 대승 운동을 과정에서 그에 맞게 전승과 사상, 실천방법을 재편집하여 이미징하는 모습이 『정토삼부경』에서 드러난다. 이는 기존 부파불교에서는 단편적으로 존재하던 법신관과 염불관, 정토관의 화소가 아미타불과 극락정토의 형태로 대승 운동의 이념에 맞게 체계적으로 정리되었고, 이는 『정토삼부경』 중 성립 연대가 이른 『아미타경』과 『무량수경』부터 상당히 후대에 성립된 『관무량수경』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음이 이미징 과정의 검토를 통해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아미타불과 극락에 대한 화소들은 다른 종교의 교리나 사상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초기불교 시절부터 전승되던 화소들이 기반이 되었으며, 이후 대승 운동이 일어나면서 현대에 불교성전 편찬에서 일정한 목적의식에 따라 삼장을 정리/요약하듯이 기존 전승 내 화소들의 재해석에 따른 체계화와 정리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부파불교 문헌의 화소 분석
1. 초기⋅부파불교의 염불⋅정토 화소
2. 초기⋅부파불교에 나타난 법신 화소
Ⅲ. 『정토삼부경』에 나타난 염불관과 불신관
1. 『정토삼부경』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2. 『정토삼부경』에서 제시되는 염불관과 불신관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재영 Choi, Jea Young. 충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