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수출 제조기업의 환경혁신 도입요인과 기업 성과 - 탐색적 활용적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초록
영어
Purpose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enable companies to introduce environmental benefits and achiev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environmental benefit innovation outcomes and financial performance from both explorative and exploitative innovation perspective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Using 2022 manufacturing sector data from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STEPI), this study performed empirical analysis on 550 export-oriented companies that have adopted innovative technologies. Results : The findings suggest that government factors are crucial in promoting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ies within companies, fostering long-term environmental and financial benefits. Conversely, market factors drive companies' exploitative innovation activities. Balancing exploratory and exploitative innovation activities synergistically contributes to both long-term and short-term environmental innovation outcomes. Conclusions : Balancing exploratory and exploitative innovation activities is essential for achieving both long-term and short-term environmental innovation outcomes, contributing to environmental benefits and sustainable financial performance. Government support is vital in promoting exploratory innovation,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olicies encouraging innovative environmental technologies.
한국어
본 논문은 기업이 환경편익을 도입하고 성과를 내도록 하는 요인을 밝히고 기업의 환경편익 혁신 도입 요인이 탐색과 활용적 혁신 측면에서 환경편익 혁신 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 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한국기업혁신조사(KIS: Korean Innovation Survey)의 2022년 제조업 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기술을 도입한 수출제조기 업을 대상으로 한 550부의 설문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해당 기업의 환경편익 혁신 도입 요인, 혁신전략, 환경편익 성과와 재무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정부 요인은 기업이 탐색적 혁신활동을 촉진하는 데 중요하며 이는 기업의 장기적 인 환경편익 및 재무성과와 지속 가능성을 촉진할 수 있다. 반면에 시장요인은 기업의 활용적 혁신활동을 촉진한다. 성과 도출에 있어 환경편익 혁신성과는 탐색적 혁신활동과 활용적 혁신 활동을 균형있게 사용하여 장기적인 성과와 단기적인 성과에 시너지를 가져올 수 있으며 두 방식을 적절히 조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기업은 완전히 새롭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환 경편익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재무성과를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odel and Data
Ⅳ. Empirical Results
Ⅴ. Summary and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