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우계 성혼의 경세 사상 : 임란 전후의 경세관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Ugye Sung Hon’s Thought of Politics and Economy - Focused on the Political Economic View Emerging around the Time of Imjin Japanese Invasion

김인규

우계문화재단 우계학보 제46호 2024.06 pp.31-6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about Ugye Sung Hon’s thought of politics and economy. As many know, Sung Hon had carried out the dispute of SaChilRiGi(四七理氣) against Yulgok Lee Yi through 9 times for 6 years since 1572, which gave him a big name as a Neo-Confucian scholar. Seeing the collections of his literatures UgyeJip, however, the 2nd and 3rd book of the collection are appeals to the king, which account for a big amount as big as one third of the collection. Most of the appeals were written for his retirement. Among them, however, such appeals as GiMyoBongSa(己卯封事), ShinSaBongSa(辛巳封事), Gyeong- YinBongSa(庚寅封事), SangWangSeJaChi(上王世子箚), SiMuPyeonEuiSipOhJo(時務便宜十五條), HaengJoSangPyeonEuiSiMu(行朝上便宜時務) and PyeonEuiSi- MuHoikYilGyeSa(便宜時務畫一啓辭) are representative showing us Sung Hon’s idea of politics and economy, which appear also in some of his letters Even if he wrote much about politics and economy, he is considered a Neo-Confucian scholar rather than a political economist. He had carried out 9 times of philosophical dispute against Lee Yi and he did not take the positions of king’s servants, which were given to him many times, so that he was misunderstood as a figure far away from a figure of politics and economy. Focusing on BongSa(封事) and GyeSa(啓辭) set forth above, therefore, this thesis sorts out Sung Hon’s idea of politics and economy into such Neo-Confucian type idea of politics and economy as GunJuSuShin(君主修身), GunShinGongChi(君臣共治) and MokMinYunRi(牧民倫理) emerging before Imjin Japanese invasion and such realistic idea of politics and economy as stability of public sentiment, engagement of talent, establishment of army’s discipline and expansion of military preparedness emerging after Imjin Japanese invasion.

한국어

이 논문은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경세사상을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성혼은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1572년부터 6년 동안 9차에 걸친 사칠리기(四七理氣)에 대한 논쟁으로 인해, 우리에게 성리학자로 더욱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우계집』을 보면, 권2, 3이 임금에게 올린 장소(章疏)로, 문집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대부분의 장소(章疏)가 사직(辭職) 상소이기는하나, 이 가운데, <기묘봉사(己卯封事)>, <신사봉사(辛巳封事)>, <경인봉사(庚寅封事)>, <상왕세자차(上王世子箚)>, <시무편의십오조(時務便宜十五條)>, <행조상편의시무(行朝上便宜時務)>, <편의시무획일계사(便宜時務畫一啓辭)> 등이 성혼의 경세관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글이며, 편지글 가운데서도 그의 경세관을 엿볼 수 있는 글이 많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혼을 경세가(經世家)보다 성리학자(性理學者)로 여기게 되는 결정적인 이유는, 이이(李珥)와의 9차례에 걸친 논쟁 외에도 그에게 수많은 벼슬이 내려졌음에도 이를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은 것도, 그를 경세가와 거리가 먼 인물로 오인하게 하였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봉사(封事)와 계사(啓辭)를 중심으로 성혼의 경세사상을 임란 전의 ‘군주수신(君主修身)’, ‘군신공치(君臣共治)’, ‘목민윤리(牧民倫理)’ 등 도학적 경세관과 임란 후의 ‘민심 안정’, ‘인재 등용’, ‘군의 기강확립’과 ‘군비 확충’ 등 현실적 경세관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목차

논문 초록
I. 머리말
II. 시대 인식과 선조에 대한
III. 경세 사상
I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규 Kim, In-Gyu. 영산대학교 동양상담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