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Dignity of Death in the Perspective of Still Life Painting - Focusing on the Movie <Still Lif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and the dignity of deat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vi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연고 시신의 장례를 다룬 영화 <스틸라이프(Still Life)>의 분석 을 통해 삶과 죽음의 의미, 죽음의 존엄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다양한 죽음 가운데서도 무연고 죽음이 사회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 살피고자 하며, 연고 없는 죽음 을 다루는 공적인 차원의 조치를 통해 죽음의 의미를 좀 더 선명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고령화 문제의 심화, 1인 가족의 증가, 가족 해체 등의 사회적 문제는 무연고 죽음과 직 결된다. 무연고 죽음에 관한 관심의 증대, 이와 관련한 법령 마련 등은 무연고 죽음의 문제를 진지하게 돌아보아야 한다는 사회적 요청과도 맞닿아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우선 무연고 죽음/시신에 일찍부터 관심을 가져온 영국과 우리나라의 관련 법령 및 규정 등을 살펴보고, 무연고 죽음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룬 영화 <스틸라이프>의 각 장면을 ‘정물화’의 개념으로 분석하였다. 사물이 맺는 관계, 사물을 통한 사색적 관조를 가능케 하는 정물화는 죽음에 대한 관찰과 깊은 사유를 요 구한다. 주인공 존 메이가 무연고사망자들을 대하는 모습은, 세상과 이별하는 죽음의 순간까지도 모든 사람은 존엄성이 지속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모든 무연고 시신 의 삶을 존중하며 장례를 치르는 존 메이의 행위는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 무연고사 망자에 대한 공영 장례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고독한 사회 속 고독한 개인의 증가와 무관하지 않은 무연고 시신에 대한 장례는 모든 죽음에 대한 존중이자, 역설적으로 삶 의 존엄성을 긍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Ⅱ. 무연고 죽음에 대한 사회적 시선과 고려
1. 영국의 무연고 시신에 대한 공영 장례
2. 한국의 무연고 시신에 대한 공영 장례
Ⅲ. 정물화의 관점에서 본 ‘죽음’
1. 첫 번째 정물화: 존 메이의 시선 속 무연고 죽음
2. 두 번째 정물화: 존 메이의 시선 속 빌리 스토크의 죽음
3. 세 번째 정물화: 정물화가 된 존 메이의 죽음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