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고논문

일제강점기 백양사의 제주불교 활동과 의의

원문정보

Baekyang Temple's Buddhist Engagements in Jeju and its Significa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한금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the 31 head Buddhist temples in Korea established their mission stations in Jeju province. Baekyangsa Temple was the representative temple that established 26 mission stations and operated actively in Jeju. Unlike the general trend, where each mission station was established based on its administrative division, mission stations in Jeju, which are under the jurisdiction of Jeollanam-do, were established by head temples from other regions such as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The establishment of the Jeju Mission Station by Baekyangsa Temple in 1924 signified the resumption of Buddhist activities, which had been halted for about six years due to Japanese control following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Jeju launched by Beopjeongsa Temple in 1918. After the establishment of mission stations such as Wondangsa Temple and Mugwanam Temple under Baekyangsa Temple in 1924, Baekyangsa Temple, as the head temple, actively supported mission activities on Jeju Island by providing construction funds for mission stations, dispatching missionaries, and having the head monk of the temple visit the mission stations on Jeju. Consequently, the number of believers increased rapidly, Buddhist activities increased, and Baekyangsa Temple mission stations increased throughout Jeju Island. During the period of the Shimjeon Development Movement in 1936, Baekyangsa Temple dispatched missionaries to Jeju Island to support lecture activities. Missionaries from Baekyangsa Temple, such as Ilseon Le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the Jeju Buddhist Federation in 1939, leading to the revitalization of modern Jeju Buddhis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emples, an increase in believers, and the expansion of Buddhist services. By 1943, Baekyangsa Temple operated mission stations in 26 temples on Jeju Island, located in 11 out of 12 myeon divisions in Jeju. The activity of Baekyangsa Temple's mission stations on Jeju Island was an achievement in revitalizing modern Jeju Buddhism.

한국어

일제강점기 제주도에는 31본산의 여러 본사에서 제주도 포교소를 설치하 였다. 백양사는 제주도에 가장 많은 포교소(26개소)를 설치하고 활동했던 본 사 사찰이다. 본사와 말사의 관계는 대체적으로 행정구역을 토대로 설정되고 있던 전국 상황과 달리 전라남도 소속 제주도에는 경상도, 충청도 등지의 포 교소도 설치되었다. 1924년 백양사 제주도 포교소의 설치는 1918년 제주법정사항일운동이 거 행되면서 이후 6년여 제주불교 활동이 정지되는 일제의 통제를 타개하여 제 주불교 활동의 물꼬를 텄다는 의미가 있다. 1924년 백양사 제주포교소 원당 사와 무관암의 설치 이후 본사 백양사는 제주도 사찰에 포교소 건축비 지원, 포교사 파견과 본사 주지의 방문 등으로 제주도 포교소 활동을 적극 지원하 였다. 이에 따라 신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법회 활동도 증가되었으며, 제주도 전역에 백양사 포교소가 증가되어 갔다. 1936년 심전개발운동 시기에는 백양사 포교사를 제주도에 파견하여 강연 활동을 지원하였다. 이일선 등의 백양사 포교사가 1939년 제주불교연맹 활동 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제주불교의 사찰 건립 및 신도의 증가, 법회 개설 증가라는 결과로 근대 제주불교의 활성화에 힘이 되었다. 1943년 백양사는 26개 소의 제주도 포교소를 제주도 본도 12개면 중 11개 면에서 사찰을 운영 하였다. 백양사 제주도 포교소 활동은 근대 제주불교 활동의 부흥기를 이뤄 내는 업적이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백양사의 제주도 포교소 설치
Ⅲ. 백양사 제주도 포교소의 제주불교 활동
Ⅳ. 백양사 포교사의 제주불교 활동
Ⅴ. 백양사 제주도 포교소의 제주불교 활동의 의의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금순 Han, Geum-soon. 제주대학교 사학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