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social support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family strength and school life adjust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23 to June 2023 on youth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of 768 people without missing data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adolesc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the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adolescen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social suppor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ese research results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help adolescents adapt well to school life based on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In addition, we hope that this will serve as a practical basis for the use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family counseling programs that help adolescents adapt well to school life by eliciting social support through positive family functions at home.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소재하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대상으로 2023년 5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측이 없는 768명의 자료에 대해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은 사회적지지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사회적지지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이 건 강한 가족관계에 기초해서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함의를 가진다. 또한 가정에서 긍정적인 가족기능을 통해 청소년이 사회적지지를 이끌어내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가족상담 프로그램이 원용되는 데 실천적 근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III. 연구결과
1. 주요변인의 기술통계
2.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
3.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