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nalysis of the Impa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Social Interaction and Trust on Risk Perception of Infectious Diseases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Beginning and Middle·Late COVID-19 Pandemic -

원문정보

근린환경과 사회적 교류 및 신뢰가 감염병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초기와 중기·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

Hyo-Sang Cho, Ja-Hoon Ko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isk perceptions of infectious diseases vary depending on individuals’ perceptions of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s, such as walkability, living conditions,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nd education, which are spaces where diseases can spread. Social interaction and trust influence overall risk perception, but their impact may vary in neighborhoods perceived as potential spaces for contagion. Therefore, we used multilevel ordered logistic model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social interaction, and trust on the risk perception of infectious diseases. The findings showed that, first, the walking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in all periods increased risk perception as satisfaction increased, while educational environment decreased. Second, neighborhood trust initially reduced risk perception in the beginning period but later increased it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while public trust consistently lowered perception of infectious disease risk across all period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that there should be planning for anti-pandemic walking and living environments, such as creating more parks or utilizing open spaces in schools. Additionally, public policies should aim to increase trust in infectious disease response measures.

한국어

감염병 위험에 대한 인식은 전염병이 확산되는 보행, 주거 환경, 보건 및 복지, 교육 등의 근린환경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교류와 신뢰는 일반적인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전염공간으로 인식되는 근린환경에 따라 일반적인 위험인식과는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린환경 인식과 사회적 교류 및 신뢰가 감염병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다수준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초기와 중기·후기의 보행환경, 생활환경은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위험인식을 증가시켰고, 교육환경 인식은 높아질수록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기의 이웃 간 신뢰는 위험인식을 낮추었지만, 중기, 후기에는 위험인식을 높였다. 그러나 공공신뢰는 모든 시기에 감염병 위험인식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시민생활과 밀접한 보행, 생활환경은 공원의 적절한 배치나 여분의 학교의 외부공간 활용 등으로 감염병 안전한 공간계획을 해야 하며, 둘째, 공공에서는 신뢰를 높일 수 있는 감염병 대응정 책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 감염병 위험인식의 개념 및 개인특성의 영향
2. 근린환경 인식 및 도시 특성과 감염병 위험인식의 관계
3. 사회적 교류 및 신뢰와 감염병 위험인식과의 관계
4. 선행연구의 한계 및 연구의 차별성
Ⅲ. 연구 설계
1. 연구의 분석자료
2. 변수설정 및 측정
3. 분석 방법
Ⅳ. 근린환경 인식과 사회적 자본이 감염병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분석
1. 코로나 시기의 구분 및 추세
2. 기초통계분석
3. 영향요인 분석결과 및 해석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Hyo-Sang Cho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Hanyang University, Wangsimni-ro 222, Seongdong-gu, Seoul, Korea
  • Ja-Hoon Koo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Hanyang University, Wangsimni-ro 222, Seongdong-gu,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