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Innovative Strategies for Enhancing School Safety Capacity through Safety Education -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Resilience and Practical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원문정보

학교 안전역량 강화를 위한 안전교육 혁신 방안 - 초등학생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향상과 실천 체험을 중심으로-

Sung Kyu Jang, Jae Eun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present innovative strategies for enhancing school safety capacity in order to nurtu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into individuals capable of taking appropriate actions before incurring harm in various crises, thereby protecting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other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tudy analyzed the background of safety education currently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s and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issues experienc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strategies for innovating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irst,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afety education conducted in schools. Second, for substant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safety education materials considering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living areas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enhancing the capabilities of instructors. Third, the development of student safety experience centers linked with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is required.

한국어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학생들이 다양한 위기가 발생하였을 때 그에 대한 피해를 입기 전에 적절한 행동을 취하여 자신뿐만이 아니라 타인의 안전까지 지켜낼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성장시키기 위해 학교의 안전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안전교육 혁신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안전교육의 배경을 이해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겪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안전교육 을 혁신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에서 실시되는 안전교육에 있어 초등학생들 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내실 있는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 학생들 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안전교육 자료의 개발과 교수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 사회 ․ 학교와 연계되어진 학생안전체험관 운영에 대한 발전이 필요하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학교 안전역량의 강화
2. 학교 안전교육의 혁신
3. 선행연구 검토
Ⅲ. 실태분석
1. 방향성이 모호해진 학교 안전교육
2. 안전교육 실천의 한계
3. 변화가 필요한 체험 중심 안전교육
Ⅳ. 개선 방안
1.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안전교육 지향
2. 안전교육 실천을 위한 선결과제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Sung Kyu Jang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 Jae Eun Le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