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상담연구 일반>

아동과 청소년의 성격강점 유형에 따른 정신건강 변인들의 차이 : 잠재프로파일 분석

원문정보

Differences in Mental Health of Character Strengths Type : Latent Profile Analysis

박우람, 조영희, 정유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representative mental health variables and according to the types of character strengths perceiv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To this end, data on character strengths and mental health variab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251 elementary school 4th to high school 3r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the latent profile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racter strength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anger and destructive behavior among negative variables, and significant effects of self-monitoring among character strengths were confirmed on anxiety, and justice, wisdom, trust, and self-monitoring on depression. In addition, character strength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positive variables such as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self-concept, and the quality of friendship. Second, as a result of dividing the latent profile according to the level of character strengths, all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It was classified into the highest group with the highest character strengths, the middle-upper groups with relatively high, the average group with average, and the lower group with low character strength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negative variables by latent prof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ur groups in anxiety and depression, and anger was found to be lower in the highest group of character strengths than the average and lower groups, lower in the middle and upper groups than in the lower groups, and significantly lower destructive behavior in the highest group than in the average and lower group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ositive variables by latent profile,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were statistically high in the order of highest, middle-upper, average, and lower groups, and self-concept and the quality of friendship were the highest in the order of highes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iddle-upper and average group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pedagogy, psychology, and character strengths studies were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성격 강점 유형에 따른 집단별 정신건강의 수준을 살펴보는데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 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과 대표적인 정신건 강 변인들의 자료를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한 자료의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강점은 부정적 변인 중 분노와 파괴적 행동에 모두 유의미한 부적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안에는 자기점검, 우울에는 정의, 지혜, 신뢰, 자기점검의 유의미한 부적 영향 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성격강점은 긍정적 변인인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자기개념, 친구관계의 질 모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성격강점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모두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성 격강점이 가장 높은 최상위 집단, 성격강점이 비교적 높은 중상위 집단, 성격강점이 평균인 평균 집단, 성 격강점이 낮은 하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잠재프로파일 유형별로 부정적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불안과 우울에는 4가지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분노는 성격강점 최상위 집단이 평균 및 하위 집단보다는 낮고, 중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는 낮게 나타났으며, 파괴적 행동은 최상위 집단이 평 균 및 하위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잠재프로파일 유형별로 긍정적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와 긍정 정서는 최상위, 중상위, 평균, 하위 집단 순으로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개념과 친구관계의 질은 최상위가 가장 높고, 중상위와 평균 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마지 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들과 비교하고 교육학과 심리학, 성격강점 연구분야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서론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연구 대상
측정 도구
자료 처리
결과
기술통계량 및 내적 합치도
회귀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우람 Woo Ram Park.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조영희 Young Hee Cho.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유리 Yu Ri Jeong.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