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시대 佛畫 畫記에 나타난 비구니 명단과 활동

원문정보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Bhikkhuni Temples Shown in List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불화 화기에 나타난 비구니 명단과 활동

탁효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that analyzes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Bhikkhuni temples during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list of Bhikkhuni included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mong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a total of 211 Buddhist paintings containing the list of Bhikkhuni, and the activities of 758 Bhikkhuni have been confirmed. 28 temples or hermitages were identified as Bhikkhuni temples. By period, there were 4 people in the 16th century, 0 people in the 17th century, 43 people in the 18th century, 472 people in the 19th century, and 239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1910). By region, 274 people were found in Seoul and Gyeonggi-do (including Incheon), 242 in Chungcheong-do, 176 in Gyeongsang-do, 45 in Jeolla-do, 7 in Gangwon-do, 1 in Hamgyeong-do, and 10 unknown. The characteristics of Bhikkhuni temples and Bhikkhuni activities shown in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re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activities of Bhikkhuni were concentrat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nd regionally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Except for Seoul and Gyeonggi-do, the activities of Bhikkhuni were clearly revealed in the Chungcheong-do and Gyeongsang-do regions. The activities of Bhikkhuni were most prominent at Magoksa Temple in the Chungcheong-do region and Haeinsa Temple in the Gyeongsang-do region. Second, 31 Bhikkhuni independent hermitages or Bhikkhuni residing hermitages appearing in the Buddhist paintings were identified. Independent temples of Bhikkhuni are mainly found around large cities. Cheongryongsa Temple, Cheongnyangsa Temple, Mitasa Temple in Oksu-dong, Mitasa Temple in Bomun-dong, and Bomunsa Temple, known as the four monasteries outside the capital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all operated as independent temples by Bhikkhuni. In contrast, most of local Bhikkhuni temples were maintained in the form of a hermitage inside a large temple. Third, among the positions of Bhikkhuni in the list of Buddhist paintings,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duties were donators and donors. Bhikkhuni's activities as donators or donors were frequently confirmed not only at their own temples but also at temples in nearby areas. This suggests that in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Joseon Dynasty, where gender distinctions were emphasized, Bhikkhuni played a key role in procuring Buddhist temple funds and temple operation equipment.

한국어

본 논문은 조선시대 불화 화기에 실린 니승 명단을 토대로 조선시대 비구니사찰의 분포 와 특징을 분석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불화 가운데 니승의 명단이 실린 불화는 총 211점 이고, 79개사찰에서 758명의 니승 활동을 확인하였다. 시기별로는 16세기 4명, 17세기는 0명, 18세기 43명, 19세기 472명, 20세기초(~1910)는 239명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 는 서울·경기(인천 포함) 274명, 충청도 242명, 경상도 176명, 전라도 45명, 강원도 7명, 함경도 1명, 미상 13명으로 조사되었다. 조선시대 불화 화기에 나타난 비구니사찰과 비구니 활동의 특징은 총 3가지로 정리하 였다. 첫째 니승의 활동은 시기적으로는 19세기, 지역적으로는 서울·경기 및 충청 지역 에 집중되었다. 서울과 경기를 제외한 니승의 활동은 충청도 지역과 경상도 지역에서 뚜렷 하게 드러났는데, 충청도에서는 마곡사, 경상도에서는 해인사에서 니승들의 활동이 가장 두드러졌다. 둘째 화기상에 나타나는 비구니 독립 사암 또는 비구니 상주 사암은 31곳으로 확인됐 다. 비구니들의 독립사찰은 주로 대도시 주변에서 확인된다. 조선시대 도성밖 4승방으로 알려져 있는 청룡사, 청량사, 옥수동 미타사, 보문동 미타사, 보문사 등은 모두 비구니의 독립사찰로 운영되었다. 이에 반해 지방의 비구니승가는 큰 사찰의 산내암자 형태로 유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화기에 실린 니승들의 직책 중에서도 가장 많이 확인되는 소임은 화주와 시주였 다. 비구니의 화주 또는 시주 활동은 자신의 사찰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사찰에서도 빈번하게 확인되었는데, 남녀유별이 강조되는 조선시대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비구니들 이 불사 자금 및 사찰 운영 지금 조달에 한 축을 담당했음을 시사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화기에 수록된 조선시대 비구니 명단
3. 각도별 비구니사찰 현황
4. 화기에 나타난 비구니사찰의 특징
5. 나가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탁효정 Tak HyoJeong. 국립순천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