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7세기 표류인 김복수의 전기와 구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Biography and Oral Legend of Kim Bok-soo, a 17th-century Drift

김동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the story of Kim Bok-soo, a Jeju man who drifted in the 17th century, was divided into literature records and oral traditions,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Jeju folk song 「Odoltogi」(오돌또기) was reviewed based on it.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almost certain that the story of Kim Bok-soo, a Jeju man who lived in Vietnam for 40 years and returned home dramatically through Japan during King Injo(1623-49), is a historical fact. Kang Joon-heum wrote 「Gi tamra Kim Bok-su sa」(記耽羅金福壽 事)(1788-1793) through the message of Byun Keong-woo, Mok Man-joong, who saw it, wrote 「Kim Bok-soo jeon」(金福壽傳)(1793) again, and Lee Won-jo, who served as governor of Jeju, contained the story in the 『Tamna-ji Chobbon』(耽羅誌草本) (1845). Second, Seok Joo-myung mentioned the possibility of being related to the 「Odoltogi」 folk song when recording the story of Kim Bok-soo as a oral legend in the 1940s, and Jin Sung-ki clearly combined 「Odoltogi」 in the legend recorded in 1956. It is believed that Kim Young-don organized the plot by reviewing both Seok Joo-myung's recorded data and Jin Sung-ki's recorded data. Third,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yrics in 「Gitamra Kim Bok-su sa」 and the lyrics in 「Odoltogi」 folk song, it is difficult to judge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tory of Kim Bok-soo and the folk song. This is because the story of Kim Bok-soo is a clear fact, and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the name of a Ryukyu (Okinawa) woman was specified as "Chunhyang" in the 19th century's 『Tamna-ji Chobbon』.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제주사람으로서 17세기의 표류인이었던 김복수 이야기를 문헌 기록과 구전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그것을 토대로 제주민요 「오돌또기」와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기존에 논의된 자료를 재검토하고 다른 자료를 추가로 점검하여 종합적으로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조 때(1623∼49) 표착한 안남에서 40년 동안 살다가 일본을 거쳐 극적으로 귀향했다는 제주인 김복수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임이 거의 확실하다. 변경우의 전언을 통해 강준흠이 「기탐라김복수사」(1788∼1793)를 썼고, 그것을 본 목만중은 다시 「김복수 전」(1793)을 썼으며, 제주목사를 지낸 이원조는 『탐라지초본』(1845)에 그 이야기를 담아 내었다. 둘째, 석주명은 1940년대에 김복수 이야기를 구전 전설로 채록하면서( 『탐라지초본』을 참고했을 수 있음) 「오돌또기」 민요와의 관련 가능성을 언급하였고, 진성기는 1956년에 채록한 전설에서 「오돌또기」를 확실히 결합시켰다. 김영돈은 석주명 채록본과 진성기 채 록본을 함께 검토하여 그 줄거리를 정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비록 「기탐라김복수사」에 나오는 노랫말과 「오돌또기」 민요 사설과는 거리가 있지만, 그렇다고 김복수 이야기와 민요와의 상관성이 없다고 섣불리 단정해서는 곤란하다. 김복수 이야기가 엄연한 사실이며, 19세기의 『탐라지초본』에 유구 여인의 이름이 춘 향으로 명기된 점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머리
2. 문헌 기록의 김복수 이야기 재검토
3. 구비 전승의 김복수 이야기 재검토
4. 김복수 이야기와 「오돌또기」의 상관성
5. 마무리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동윤 Kim, Dong-yun.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