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공예술의 실천적 대안으로서 사운드아트 -공간과 장소, 공공성과 예술성, 미학과 윤리 사이에서-

원문정보

Sound Art as a Practical Alternative in Public Art -Examining Space and Place, Publicity and Artistry, Aesthetics and Ethics-

김경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sound art as a practical alternative within public art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xamines the overlapping concerns of public art and sound art. To begin with, this study traces the journey that public art has taken so far, examining its historical development. It investigates how public art has evolved over time, the challenges posed by the juxtaposition of ‘public’ and ‘art’, and the strategies employed to reconcile these challenges. It also analyzes how critiques and reflections within the discourse of public art have influenced public art policy and practice, and how legal debates surrounding public artworks have shaped a new paradigm for public art. Secondly, it explores the intersection of sound and space within the history of sound art, examining how sound art’s conceptualization of space has expanded from physical locations to encompass social spaces within the public sphere. This analysis includes a discussion on how this evolution interacts with existing paradigms in public art and how public art addresses its inherent limitations. Finally, it examines the aesthetic and ethical dimensions that arise when the spatiality of the body, shaped by sound and listening, transcends material boundaries to extend into social spaces. This examination is supported by an analysis of sound practices within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as one of the pioneering inquiries to directly connect sound art with the discourse of public art.

한국어

이 연구는 사운드아트가 공공예술의 새로운 실천적 대안으로서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다양한 사례로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공공예술과 사운드아트의 중첩되는 관심사에 주목한다. 먼저 공공예술의 지나온 역사를 추적하며, ‘공공’과 ‘예술’이 실천적으로 만나 어떤 미학적,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고, 또 어떻게 절충하고 조화하는 방법을 찾는지, 예술과 공공성의 문제가 공공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형성에 어떻게 작용했는지 등을 논의한다. 다음으로 사운드아트의 역사 속에서 소리가 어떻게 공간과 만나고, 사운드아트가 고려하는 공간 개념이 어떻게 장소로, 그리고 공공의 사회적 공간으로 확장되어 가는지 그 변화의 과정을 몇몇 사례들과 함께 분석한다. 더불어 그 과정이 공공예술의 패러다임들과 어떻게 맞물리며, 공공예술이 가진 한계를 어떻게 극복해 내는지도 함께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소리와 듣기를 통해 구성되는 몸의 공간이 물질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공간으로 확장되었을 때 미적, 윤리적 관계가 어떻게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하는지 지역 공동체의 사운드 실천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이 연구는 사운드아트를 공공예술과 직접적으로 연결 지어 논의한 첫 연구 사례로서 학술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저자정보

  • 김경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이용 방식은 연계기관의 정책을 따르고 있습니다.

      • 원문보기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