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신분열시대의 소통과 무의식 -들뢰즈와 가타리의 정신분열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ommunication and unconsciousness in the age of schizophrenia -Focusing on Deleuze and Guattari's schizophrenia analysis

오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theoretical work to understand communication styles in the era of schizophrenia from a psychodynamic perspective. In particular, we will examine Deleuze and Guattari’s discussion of schizophrenia analysis. Given that the general discussion on communication is mainly focused on conscious activities, it was made with the awareness that communication theory would only be a lame understanding at best if it was not supported by a discussion on the level of the unconscious. The originality of Deleuze and Guattari’s schizophrenia analysis is that they criticize the previous Freud-centered psychoanalysis theory for being based on several fundamental errors and present schizophrenia theory as an alternative. Moreover, the starting point of such work is that schizophrenia analysis theory positions the ‘recovery of the ego’, which psychoanalytic theory considers as an achievement of treatment, as the beginning of the problem. In other words, the assumption of a unified and integrated overall ego is a wrong assumption and results in justifying social oppression, so starting from a dispersed, fragmented and partial, in other words, fragmented body, we can reach a ‘body without organs’ to become free and free. My goal is to lead a creative life. In this paper, we took inspiration and hints from Deleuze and Guattari’s theoretical research results and sought a solution to the existential communication problem where ‘beings from different planets must live together on the same Earth’.

한국어

본 논문은 정신분열시대의 소통양식을 정신역동의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작업이다. 특히, 들뢰즈와 가타리의 정신분열분석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소통에 관한 일반적인 논의가 주로 의식적 활동으로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무의식의 차원에 대한 논의가 뒷 받침되지 않는다면 소통론은 잘해야 절름발이 이해밖에 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이루어졌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정신분열분석의 독창성은 종전 프로이트 중심의 정신분석이론이 몇 가지 근본적인 논점의 오류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정신분열분석이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그러한 작업의 출발은 정신분석이론이 치료의 성취라고 여기고 있는 ‘에고의 회복’을 정신분열분석이론을 오히려 문제의 시작으로 놓고 있다는 점이다. 즉, 통일되고 통합된 전체적 에고라는 상정이야 말로 그릇된 가정으로 사회적 억압을 정당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분산되고 파편화되고 부분적인, 다시 말해 분열적인 신체를 출발로 해서 ‘기관없는 신체’에 도달함으로써 자유롭고 창의적인 삶을 영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이론적 연구 성과에서 영감과 힌트를 얻어 ‘서로 다른 별에서 온 존재들이 같은 지구별에서 더불어 살아가야만’ 하는 실존적인 소통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해 보았다.

저자정보

  • 오창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이용 방식은 연계기관의 정책을 따르고 있습니다.

      • 원문보기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