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연어 처리의 개체명 인식을 통한 기록집합체의 메타데이터 추출 방안

원문정보

A method for metadata extraction from a collection of records using Named Entity Recognition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송치호

한국기록관리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24권 제2호 2024.05 pp.65-88

doi:10.14404/JKSARM.2024.24.2.06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ilot study explores a method of extracting metadata values ​​and descriptions from records using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a technique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a sub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study focuses on handwritten records from the Guro Industrial Complex, produced during the 1960s and 1970s, comprising approximately 1,200 pages and 80,000 words. After the preprocessing process of the records, which included digitization, the study employed a publicly available language API based on Google’s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BERT) language model to recognize entity names within the text. As a result, 173 names of people and 314 of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were extracted from the Guro Industrial Complex’s past records. These extracted entities are expected to serve as direct search terms for accessing the contents of the records.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d challenges that arose when applying the theoretical methodology of NLP to real-world records consisting of semistructured text. It also presents potential solutions and implications to consider when addressing these issues.

한국어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하위분야인 자연어 처리(NLP)의 개체명 인식(NER)을 통하여 기록에 내재된 메타데이터 값과 기술 정보를 추출하는 방안에 대한 시험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1960~1970년대에 생산된 구로공단 수기 기록물(약 1,200 쪽, 8만여 단어)을 대상으로 하였다. 디지털화를 포함하는 전처리 과정과 함께 기록 텍스트에 대해서 구글의 BERT 언어 모델에 기반하여 구현되어 공개된 언어 API를 사용하여 개체명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로 구로공단의 과거 기록에 포함된 173개의 인명과 314개의 조직 및 기관 개체명을 추출할 수 있었고, 이는 기록의 내용에 대한 직접적인 검색어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그리고 자연어 처리의 이론적 방법론을 반·비정형의 텍스트로 이루어진 실제 기록물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 방안과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했다.

저자정보

  • 송치호

※ 원문이용 방식은 연계기관의 정책을 따르고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