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임실현 『운수지(雲水誌)』 4종 편찬과 특징 비교

원문정보

Comparison of the Compi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ur Types of Unsu-ji in the Joseon Dynasty's Imsil-Hyeon eoupji

김철배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71호 2024.07 pp.165-20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upji is a geography books written based on Gunh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which systematically organizes various information on the humanities environment and natural geography of the reg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ejong Sillok-Jiriji and Sinjeungdongguk Yeoji-Seungram were published, 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Yeojidoseo and Daedongjiji are representative. In addition, Honam-eupji, Yeongnam-eupji, Gwanbuk-eupji, Gwanbuk-eupji, Gwanseo-eupji, Hoseo-eupji, Hwanghaedo-eupji, and Gyeonggido-eupji were compiled by categorizing the eight islands of the Joseon Dynasty. Even if such Gwanchan-eupji, such as Jiriji or provincial Jiriji, has an integrated and clear system of the whole country, it is the Sachan-eupji, which was compiled to improve it because it cannot be without flaws. Sachan-eupji began to appear in the 16th century and was continuously compiled. In particular, Eupji, compil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contains local communities after the Imjin War and Byeongja-Horan. Since it was compiled by the head of the county and the local people, it contains rich data on the history, culture, society, and economy of the county, which is ver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ime. There are about 50 volumes of Sachan-eupji compil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ncluding Suncheonbu-eupji Seungpyeongji(1628), Jejudo-eupji Tamraji(1653), and Namwonbu-eupji, Yongseongji(1699). However, in July 2023, the Unsuji compiled in 1675, and in December 2017, the Unsuji, compiled in 1730, was discovered. And in October 2023, a copy of the Unsuji, was discovered which was compiled into two volumes and one book. And the Unsuji, published in 1904, has been widely circulated and informs the situation of Imsil. Therefore, Imsil-gun became a special place where four kinds of Sachan-eupji spread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that is, before 1910. Therefore, this paper was intended to introduce four types of Unsuji compiled or published in each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reveal their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and reviewing each bibliography, the purpose of compil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items.

한국어

지(邑誌)는 조선시대 군현(郡縣)을 단위로 작성된 지리지(地理誌)로서 지역의 인문환경과 자연지리 등에 대한 여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조선 전기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이 간행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조선 팔도를 범주화하여 각 군현의 읍지를 합철한 것이 『호남읍지』, 『영남읍지』, 『관북읍지』, 『관동도지』, 『관서읍지』, 『호서읍지』, 『황해도전지』, 『경기읍지』 등이다. 이러한 전국 지리지나 도별 지리지 등의 관찬읍지가 전국을 통합적이고 일목요연한 체계를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한 지역으로 본다면 흠결이 없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편찬한 것이 사찬읍지류이다. 사찬읍지는 16세기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편찬되었다. 특히 16~17세기에 편찬된 읍지는 시기적으로 양란(兩亂) 이후의 지역사회를 담고 있다. 군현의 수령과 지역민이 함께 편찬하였기 때문에 해당 군현의 역사와 문화, 사회, 경제 등등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수록하고 있어서 당대 현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16~17세기 사찬읍지는 전국적으로 대략 50여 권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현전하고 있는 전라도 읍지로 알려져 있는 것은 순천부읍지 『승평지(昇平志)』(1628), 제주도 읍지 『탐라지(耽羅志)』(1653), 남원부 읍지 『용성지(龍城誌)』(1699) 뿐이었다. 그런데, 2023년 7월에 1675년(숙종1)에 편찬된 임실현 사찬읍지 『운수지(雲水志)』 을묘본이 발견되었고, 2017년 12월에는 1730년에 편찬된 『운수지(雲水誌)』 경술본이 발견되었으며, 2023년 10월에는 『운수지』 을묘본과 경술본을 각각 필사하여 2권 1책으로 엮은 『운수지』 이본(異本)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1904년에 간행된 『운수지』가 그간 널리 유포되어 임실의 사정을 전하고 있었다. 따라서 임실군은 17세기부터 20세기, 즉 1910년 이전까지 4종의 사찬읍지가 전하고 있는 특별한 곳이 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조선시대 각 시기별 편찬 또는 간행된 『운수지』 4종을 소개하고자 하였고, 각각의 서지사항 및 편찬의 목적, 항목의 분화 등을 비교 검토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운수지』의 편찬과 소장 현황
Ⅲ. 『운수지』 수록 항목 비교
Ⅳ. 『운수지』 서술의 몇 가지 특징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철배 Kim, Chul-Bae. 문학박사, 임실군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