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정조 『朱文手圈』 편찬의 목적과 의의

원문정보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King Jeongjo's compilation of Zhuwen Shouquan

정조 『주문수권』 편찬의 목적과 의의

강문식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52집 2024.06 pp.273-30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Zhuwen Shouquan(朱文手圈) is a book edited by King Jeongjo, in which he directly marked and circled the most essential content of the Zhuzi Daquan(朱子大 全). Jeongjo aimed to compile the ‘Zhuzi Quanshu(朱子全書)’, encompassing all of Zhu Xi's works, and as a preliminary step, he compiled the Zhuwen Shouquan. King Jeongjo had been studying the Zhuzi Daquan by marking and circling important contents and summarizing the results into various digests of Zhu Xi's works. The Zhuwen Shouquan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most essential content of the Zhuzi Daquan based on the foundation of previous digests. Examining the summarization and editing style of the Zhuwen Shouquan, it becomes evident that many passages are difficult to understand without a thorough grasp of the Zhuzi Daquan. This can be interpreted as indicating that King Jeongjo, who compiled the Zhuwen Shouquan, had reached a perfect level of understanding in Neo-Confucian studies.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King Jeongjo aimed to encourage scholars of Joseon to recognize their limitations and strive for further academic growth in Neo-Confucian studies through the Zhuwen Shouquan. The Zhuwen Shouquan contains numerous passages on the virtues of a ideal ruler that Zhu Xi emphasized to the Song Dynasty emperor, such as the ruler's right mind, the employment of talented individuals, the distinction between noble and petty persons,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people's livelihood. It is thought that King Jeongjo not only agreed with Zhu Xi's thought of an ideal ruler but also intended to demonstrate that he himself had already realized such an ideal. This speculation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in the same year as the compilation of the Zhuwen Shouquan, King Jeongjo wrote the Mancheon Myeongwol Juinong J aseo(萬川明月主人翁自序), declaring that he understood the talents and characters of all his ministers and subjects and treated them accordingly. The Zhuwen Shouquan contains many excerpts reflecting Zhu Xi's views on the attitude towards learning,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trends in the academic world of the Southern Song period. This indicates that King Jeongjo accepted and inherited Zhu Xi's academic perspectives and shared a similar critical awareness regarding the Joseon academic community in 18th-century. This is in the same context as King Jeongjo's declaration that he was the rightful successor of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after Zhu Xi. In other words, Zhuwen Shouquan clearly establishes King Jeongjo as Zhu Xi's successor in terms of academic philosophy and, through this, supports the legitimacy of King Jeongjo's declaration as a Master-King(君師). In summary, Zhuwen Shouquan can be regarded as a work that demonstrates King Jeongjo'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Zhu Xi's Neo-Confucianism, highlighting that he is the complete successor of Zhu Xi and a Master-King. In this respect, Zhuwen Shouquan is a book that shows the culmination of King Jeongjo's studies on Zhu Xi's philosophy. If 'Zhuzi Quanshu' is considered the final stage of the grand compilation of Zhu Xi's works, Zhuwen Shouquan can be seen as the final and complete stage of the digest version.

한국어

『朱文手圈』은 정조가 『朱子大全』에 직접 批點과 圈點을 쳐서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선 별하여 편집한 책이다. 정조는 朱熹의 저작들을 종합한 ‘朱子全書’ 편찬을 구상하면서 그 전 단계로 『주문수권』을 편찬하였다. 정조는 이전부터 批圈·抄錄을 통해 『주자대전』을 연구했고 그 결과를 여러 選本으로 정리했는데, 『주문수권』은 선행 주자서 선본들의 기반 위 에서 『주자대전』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을 엄선하여 정리한 성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주문수권』의 초록 및 편집 방식을 보면, 독자가 『주자대전』을 완벽하게 숙지하고 있지 않으면 초록된 문장의 의미나 맥락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들이 많이 있다. 이는 『주문수권』을 편찬한 정조의 주자학 이해가 완벽한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 정조는 당시 조선의 학자들이 『주문수권』을 통해 자신들의 한계와 부족을 인식하고 주자 학 연구에 더욱 정진하여 학문적으로 더 성장하도록 독려하고자 했다고 생각된다. 『주문수권』에는 주희가 송 황제에게 강조했던 이상 군주의 덕목들, 즉 군주의 正心, 인 재 등용과 군자·소인 분별, 민생에 대한 책임 의식 등에 관한 내용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정조가 주희의 이상적 군주상에 동의했을 뿐만 아니라, 정조 자신이 그와 같은 군주상을 이미 실현한 존재임을 드러내려는 의도가 담겨 있다고 생각된다. 정조가 『주문수권』 편찬 후 같은 해에 「萬川明月主人翁自序」를 지어 자신이 모든 臣民의 재능과 성품을 파악하고 그에 알맞게 대하고 있음을 천명했던 것은 이런 추정을 뒷받침해 준다. 『주문수권』에는 학문에 임하는 자세와 연구 방법론, 남송 학계의 동향 등에 관한 주희의 견해를 반영된 글이 많이 초록되어 있다. 이는 정조가 주희의 학문관을 수용하고 계승했으 며, 18세기 조선 학계에 대해 주희와 동일한 비판 의식을 갖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 정조 자신이 주희 이후 道學의 정통을 이어받은 君師임을 선언한 것과도 맥을 같이 한다. 즉, 『주문수권』은 학문관의 측면에서 정조가 주희의 계승자임을 분명히 하고, 그를 통해 정조 의 군사 선언이 정당한 것임을 뒷받침해 주는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주문수권』은 체재와 내용 모두에서 정조의 주자학 이해가 정점에 이르 렀고 정조가 주희의 완전한 계승자이자 君師라는 점을 드러내는 저술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주문수권』은 정조 주자학 연구의 정수가 응축된 저작이며, ‘주자전서’가 大成의 최종 단 계라고 한다면 『주문수권』은 그에 대응하는 요약의 최종 단계, 선본의 완성이라고 생각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주문수권』의 형식적 특징
1. 편집 과정의 특징
2. 편집 체재의 특징
Ⅲ. 『주문수권』의 내용적 특징
1. 주희 군주관의 계승과 실현
2. 주희 학문의 계승과 君師 책무 수행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강문식 Kang, Moon-Shik. 숭실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