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좌절과 도약의 교차로 : 중국 초기문명 성립의 길

원문정보

Crossroads of Frustration and Progress : The Path to the Establishment of Early Civilization in China

김정열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52집 2024.06 pp.139-20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na's journey towards significant social complexity began during the Longshan Culture, corresponding to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large fortified settlement sites from around 3000 BCE, including the Shimao site in the Ordos region, the Taosi site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ellow River, the Shijiahe site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angtze River, and the Liangzhu site in the lower reaches, hold groundbreaking positions in the development of ancient Chinese civilization. However, these settlements began to collapse around 2000 BCE. The collapse observed throughout China appears to be related to severe climate changes. Nevertheless, climate change does not explain everything; human factors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Therefore, the causes of the collapse of the large fortified settlements during the Longshan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from bo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responses to it. After the collapse of these settlements, around the 19th century BCE, the Erlitou site suddenly appeared in the Luoyang Basin in the middle reaches of the Yellow River. To explain the emergence and growth of the Erlitou settlement, unrelated to the large fortified settlements of the Longshan Culture,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location of Erlitou in mid-western Henan Provin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ationale explaining why there was a sudden population increase at Erlitou during the Erlitou Culture or why a systematic city was constructed with significant advancements. The 'emergence' of civilization at Erlitou is closely related to the role of the ruling class in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The ruling class's strategy at Erlitou is prominently displayed through achieving internal integration by hierarchically reorganizing kinship groups and establishing a common ideology. This strategy also included the activ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prestige goods and the production and trade of both prestige goods and everyday items, thereby establishing Erlitou as a center of material accumulation and exchange. Even so, this cannot be seen as an innovative creation of the ruling class at Erlitou. Rather, Erlitou achieved its advancements by absorbing and integrat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from different regions that preceded or were contemporary with it. The convergence and selective acceptance of cultural traditions from various regions at Erlitou are evident in several aspects: the formation of large settlements based on the aggregation of kinship groups, the direct control of handicrafts by the ruling class, the presence of large ceremonial spaces at the center of the settlement, and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a broad settlement system through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restige goods. In this sense, it is certain that the Erlitou settlement absorbed and inherited the ongoing flow of civilization from the northern Loess Plateau to the southern Yangtze River basin. However, everything definitely advanced during the Erlitou phase. Although Erlitou emerged as a new entity in the peripheral areas against the backdrop of environmental changes at the end of the Longshan Culture, it not only inherited the traditions and experiences developed across various regions of China since the Neolithic era but also provided a more advanced social organization model. The interactions between environmental changes and constraints and human responses to them, particularly the strategies of the ruling class at Erlitou, acted as a driving force to overcome the collapse of civilization and restart it.

한국어

중국은 신석기문화 후기 단계에 해당하는 룽산문화기에 들어 본격적으로 사회복합화의 과정에 진입했다. 고도로 복합화된 사회의 흔적을 남겨놓은 오르도스 일대의 스마오 유적, 황허강 중류의 타오쓰 유적, 양쯔강 중류의 스자허 유적, 하류의 량주 등 기원전 3000년기 의 대형 성곽취락 유적은 고대 중국의 문명화 과정에서 획기적인 위치를 점하는 것으로 평 가된다. 그러나 이들 대형 성곽취락 유적은 기원전 2000년경을 전후하여 하나하나 붕괴하 기 시작했다. 중국의 전역에서 관찰되는 붕괴는 극심한 기후변동과 관련되어 있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후변동이 모든 것을 설명하지는 못한다. 붕괴는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인 위적인 요인과 상당한 관련을 맺고 있다. 따라서 룽산문화기 대형 성곽취락의 붕괴 원인에 대해서는 자연환경의 변화와 그에 대한 인간의 대응 등 두 가지 측면이 두루 고려되어야 한다. 룽산문화기 대형 성곽취락의 붕괴 이후 기원전 19세기경 황허강 중류의 뤄양분지 일 대에서 돌연 그에 비견할만한 얼리터우 유적이 출현했다. 룽산문화기의 대형 성곽취락과는 무관한 허난성 중서부의 뤄양분지 일대에서 돌연 거대 취락 얼리터우가 출현하고 성장한 원인을 설명하기 얼리터우의 자연환경과 그 지리적 위치가 주목된다. 그러나 거기에는 왜 얼리터우문화기에 들어 얼리터우 유적에 급격한 인구증가가 일어났는지, 또는 현격한 진보 와 함께 체계적인 도시가 건설되었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논리가 빠져 있다. 얼리터우에서 일어난 문명의 ‘신생’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통치계층의 역할과 무관하지 않다. 얼리터 우에서는 혈연집단의 계층적인 재편성과 공통의 이데올로기 구축을 통해 내적 통합을 달 성하고, 위세품의 적극적인 생산과 관리, 위세품과 일상생활용품의 생산과 교역을 통해 얼 리터우를 물자의 집적과 교환의 중심지로 정착시킨 통치계층의 전략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다. 그렇다고 해도 그것은 얼리터우의 통치계층의 혁신적인 창안이라고 볼 수 없다. 오히려 얼리터우는 그에 선행하거나 또는 동 시기 여러 지역의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흡수하고 통 합함으로써 그 진보를 달성했다. 다양한 지역의 문화전통이 얼리터우에 모이고 또 선택적 으로 수용된 것은 혈연집단의 집적에 기반을 둔 대형 취락, 통치계층의 직접적인 수공업 통제, 취락 중심부에 위치한 대규모 의례공간, 위세품의 생산과 분배를 통한 광역적 취락체 계 구축과 유지 등에서 골고루 드러난다. 그런 의미에서 얼리터우 취락은 북방의 황토고원 부터 남방의 양하 유역 일대에서 꾸준히 진행되어 온 문명의 흐름을 수용하고 계승했던 것 이 틀림없다. 그러나 얼리터우의 단계에서 확실히 모든 것이 발전했다. 즉 얼리터우는 룽산 문화기를 마감하는 시기에 발생한 자연환경의 변화를 배경으로 하여 주변지대에서 신생의 형태로 출현하였지만, 그것이 신석기시대 이래 중국 각지에서 발전해 온 전통과 경험을 계 승하는 동시에 더욱 발전된 사회 구성 모델을 제공했다. 환경의 변화와 제약 그리고 그것 에 대응하는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 특히 얼리터우 통치계층의 전략은 문명의 붕괴를 극복 하고 이를 다시 시작하게 하는 동력으로 작용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룽산문화기 대형 성곽취락
Ⅲ. 초기 복합사회의 성쇠
Ⅳ. 얼리터우 유적의 출현과 성장
Ⅴ. 문명의 붕괴와 연속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열 Kim, Jung-Ryol. 숭실대학교 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2,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