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찰 직무만족도, 시민 체감안전도, 시민 치안만족도 간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 만족거울이론의 적용

원문정보

Examin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Among Police Job Satisfaction, Citizen Perceived Safety, and Citizen Security Satisfaction: Applying Satisfaction Mirror Theory

이명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pplied the satisfaction mirror theory from organizational behavior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itizen satisfaction with public safety in the public sector, specifically within police organizations. The satisfaction mirror theory explains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internal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of external stakeholder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nside-out" effect, exploring the longitudinal impact of police job satisfaction on citizens' satisfaction with public safety.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CL) was used to meticulously analyze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s over time, introducing perceived safety as a mediating variable to interpret the mechanisms of these complex interactions. The study presents four major findings. First, the measured variables remained stable over time, with perceived safety showing the highest stability coefficient. Second, police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ived safety over time, consistently showing significance at the 0.05 level each year. Third, perceived safety significantly affected citizens' satisfaction with public safety, consistently showing significance at the 0.001 level each year. Lastl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afety was significant, as police job satisfaction influenced citizens' satisfaction with public safety through perceived safe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lice job satisfaction positively impacts perceived safety and public safety satisfaction over time.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lice organizations and policymakers. Strategies to improve police job satisfaction can directly contribute to enhancing public safety, playing a crucial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Furthermor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various public sector organizations, highlighting the need to verify the theory's generalizability and consider additional mediating variables in future studies.

한국어

본 연구는 조직행동과 조직심리학에서의 만족거울이론을 적용하여 공공부문, 특히 경찰 조직에서 직무만족도와 시민의 치안만족도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만족거울이론은 조직 내부의 만족도 와 외부 이해관계자의 만족도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 이론을 바탕으 로 '인사이드-아웃' 효과에 중점을 두고 경찰 직무만족도가 시민의 치안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 단적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RCL)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상호 인과관계를 세밀하게 분석하였으며, 중간 매개변수로서 시민 체감안전도를 도입하여 복잡한 상호작 용의 매커니즘을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네 가지 주요 발견을 제시한다. 첫째, 분석에 사용된 측정변수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특히 시민 체감안전도의 안정성 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경찰 직무 만족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민 체감안전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각 연도별로 유의수준 .05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셋째, 시민 체감안전도가 시민 치안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유의수준 .001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찰의 직무만족도가 시민의 체감안전도를 매개하여 시민 치안만족도로 이어지는 종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찰 직무만족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민의 체감안전도와 치안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경찰 조직 및 관련 정책 결정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경찰 조직의 직무만 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공공의 치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공공 서비 스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경찰 조직을 포함한 다양한 공공 부문 조직에서 직무만족도와 고객 만족도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추후 연구 에서 이론의 범용성을 검증하고 추가적인 매개변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명우 Myung-Woo, Lee. 원광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