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형 자치경찰제 정착을 위한 미국 자치경찰제도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the American autonomous police system to establish a Korean-style autonomous police system

김순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dministration of local self-governance, which is centered on citizens, is not merely an administrative structure but a tool for realizing democracy and the separation of powers, embodying their values. Similarly,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hould be considered within the same context as the local self-governance system. Therefore, the ultimate goal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for the police to be responsive to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nd to provide the security services they desire. This study aims to gauge the direction of the Korean-style autonomous police system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American-styl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is evaluated as best fulfilling these value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this end, the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current status of the local self-governance system and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to compare and review them with the local self-governance system and the currently implemented autonomous police system in Korea. However, the introduction of a strong autonomous police system centered on basic local governments, as seen in the United States, can cause various concerns and controversies in our reality. Nevertheless, the American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is based on clear local decentralization and responds sensitively to local residents' opinions, is the system that best aligns with the fundamental purposes of grassroots safety and autonomous policing. It is use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 future Korean-style autonomous police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providing new perspectives and ideas for establishing the Korean-styl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operational mechanisms and specific cases of the American autonomous police system. In particular, it seeks to explore various policy alternatives such a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community participation through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securing the democracy and accountability of autonomous policing, strengthening the autonomy and control of the autonomous police, and ensur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the autonomous police.

한국어

시민을 주체로 하는 자치 행정은 단순한 행정적 구조가 아니라 민주주의와 권력 분립을 실현하고 그 가치를 구현하는 도구로서, 자치경찰제 역시 자치행정 체제와 같은 맥락에서 고찰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치 경찰 체제의 궁극적 목표는 경찰이 지역 주민들의 의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그들이 원하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자치경찰제의 이러한 가치를 가장 잘 충족시키는 것으로 평가되는 미국식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토대로 한국형 자치경찰제도의 나아갈 방향을 가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미국의 지방자치제도 및 자치경찰제도의 근본원리와 현황을 분석하여 한국의 지방자치제도와 현행 시행되고 있는 자치경찰제도와의 비교·검토를 시도하였다. 그 러나 미국과 같이 기초 지방 정부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자치 경찰 체제의 도입은 우리 현실에서 다양한 우려와 논란을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의 자치 경찰 체제는 명확한 지방 분권을 기반으 로 형성되었으며, 지역 주민의 여론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풀뿌리 안전과 자치 경찰의 근본적 목적에 가장 잘 부합하는 제도로, 앞으로의 한국형 자치경찰 제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유용하다. 이 에 따라, 이 연구는 미국 자치경찰 체도의 실제 운영 메커니즘과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형 자치경찰제도 수립을 위한 새로운 시각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자치 경 찰 체제를 통한 지역사회 참여의 효율성 강화, 자치 경찰의 민주성 및 책임성 확보, 자치 경찰의 자 율 및 통제 강화, 그리고 자치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 등 다양한 정책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자치성 여부에 따른 자치경찰 모델
Ⅲ. 미국 자치경찰 모델의 특징
Ⅳ. 한국형 자치경찰 모델 정착을 위한 착안점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순석 Soon-Seok, Kim. 신라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