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pplied the Landscape Montage Technique (LMT) as a method to increase soldiers' resilience and verified soldiers' service adaptabilit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and resilience. The completeness of the landscape composition technique by classifying it into preand post-execution resilience programs. The impact on service adaptability and resilience was verified. The main subjects were 307 army soldier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resilience program was verified in terms of landscape composition technique expression, service adaptabil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completion of resilience.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completeness of LMT's expression showed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resilience program training, confirming that it is useful in diagnosing soldiers' service adaptabilit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nd the scenery composition, coloring, and expression elements of LMT were improved. At the same time, it was shown to increase adaptability to servic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resilience program training is not only a tool for assessing soldiers' service adaptabilit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but also improves resilience. Based on this, the resilience program can be used as a tool to improve soldiers' service adaptabilit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and resilience, and can be used as a resilience program to increase service adaptation to military life.
한국어
본 연구는 병사들의 회복 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풍경구성기법(Landscape Montage Technique, LMT)을 적용하여 병사의 복무적응도(심리·정서적 상태)와 회복탄력성을 검증하였다. 주 대상은 육군 병사 307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풍경구성기법 표현, 복무적응도, 회복탄력성의 사전과 사 후의 완성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첫째, 풍경구성기법을 현재 군 복무 적응 심리·정서의 진단 도구인 복 무적응도와 대비하여 타당성을 확보, 풍경구성기법이 병사들의 심리·정서 진단에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 였다. 둘째, 풍경구성기법 반복 적용은 풍경구성지표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경구성지표가 높은 것 은 심리·정서가 안정된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는 풍경구성기법의 적용이 자연치유적 효용성이 있음을 시 사하고 있다. 셋째, 풍경구성기법 반복 적용은 복무적응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풍경구성기법 적용이 자살의도를 낮추고 충동조절, 대인관계 등을 향상시키는 활동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풍경구성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이 마음 풍경을 외재화하여 자기 이해와 성찰, 통찰의 통합적 표현활동으로 병사들에 게 심리·정서적 안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를 바탕으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은 병사의 복무 적응도(심리·정서적 상태)와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 도구로서 군 생활에 복무적응을 높이는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절차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2.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3. 복무적응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사전·사후분석
2. 기술통계
3. 상관관계
4. 회귀분석
Ⅳ. 결론 및 논의
1. 논의
2. 결론
3.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