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s an experience in the teachers training college as a preliminary teacher establishes recognition and an attitude on a subject and a class, it is the very important time for subject specialty. The insufficient specialty of preliminary teachers have been often determined in the studies having analyzed classes for preliminary teachers by disregarding the various backgrounds related to the features of lecture instructors or subjects. Moreo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 study pointing out the problems with university lectures and improving lectures in the studies on preliminary teacher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s of art education in the classes for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teachers training college and examine art education classes with the derivation of improvements. Study objects are 21 juniors taking the ‘Methodology on Art Education in an Elementary School’ class the researcher having taught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academic year of 2023. The guidance plans were prepared with the classes demonstrated for 5 groups. 3 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as experts participated in the class analysis. They helped in analyzing art classes for preliminary teachers and relevant data and correcting the paper. Lastly, the study was concluded with lecture improvements presented on the basis of class analysis details.
한국어
예비교사로서 교원양성대학에서의 경험은 교과목이나 수업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정립하게 하므로 교과 전문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다. 지금까지의 예비교사들의 수업을 분석한 연 구들은 강의를 맡은 교수자나 교과목의 특징과 관련된 다양한 배경을 무시하고, 예비교사의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단정 짓는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예비교사에 관한 연구에서 대학 강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강의를 개선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 은 교원양성대학에서의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에서 미술교육 쟁점을 분석하고, 미술교육 관 련 강의를 반성하고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연구자가 2023학년도 2학기에 맡았던 <초등미술교육방법론>을 수강하는 3학년 대학생 21명이며, 5모둠으로 나누어 지도안을 작성하고 수업을 시연하였다. 수업 분석에는 전 문가라고 사료되는 초등학교 경력교사 3명이 참여하였는데, 예비교사들의 미술수업 및 자료 분석, 논문 수정에 도움을 주었다. 끝으로, 수업을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강의 개선안을 제시 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목차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의 변화와 한국 미술교육의 쟁점
2. 예비교사교육에 관한 사전연구 분석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1. 모호한 미술: 예비교사의 미술에 대한 철학 정립 필요
2. 미술 개념과 표현기능 및 직접교수법의 재발견
3. 미술작품의 질에 대한 평가는 교사의 책무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