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s and support demand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t the time when a paradigm shift towards futuristic evaluation is required.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which a total of 451 teachers participated, and the interviews with 13 education official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wed a moderate level of agreement regarding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essay-type evaluation. Interviews confirmed the recognition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evaluation at the current level because the proportion of the evaluation is still high. Second, teachers expected the main difficulties to secure time for essay-type evaluations and to dispute fairnes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futuristic evalu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direct support such as reducing teacher work or developing a scoring system is required.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written and essay-type evaluation scoring support programs and evaluation materials, were important as support to form the foundation for futuristic evaluation. However,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scoring support programs, skeptical opinions were also confirmed as to whether the current level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was possible. Finally,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to operate training to improve teachers' evaluation expertise, and further proposed the implementation of a platform that allows teachers to share and collaborate on materials of evaluation. Based on the data collect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s study attempted to synthesize and present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futuristic evaluation, and to suggest highly effective policies based on conclusions.
한국어
본 연구는 미래형 평가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평가의 주된 실행자인 중 등 교사의 인식과 지원 요구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총 451명의 교사가 참여 한 설문조사와 13명의 교육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수행평가 및 서·논술형 평가 비중 확대에 관하여 보통 수준의 동의 정도를 보 였다. 심층 면담에서는 평가 비중에 관한 논의보다, 현재 수준에서 평가의 내실화를 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미래형 평가 운영에서 서·논술형 평가를 위한 물리적 시간 확보와 공정성 시비를 주된 어려움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 하는 방안으로는 교사 업무 경감이나 채점 시스템 개발 등 직접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있었 다. 셋째, 교사들은 미래형 평가 기반을 형성하기 위해서 서·논술형 평가 채점 지원 프로그램 과 평가 자료의 개발·보급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채점 지원 프로그램의 도입 에 관해서는 현재 지능정보기술의 수준이 충분한지에 대한 회의적인 의견도 확인되었다. 끝 으로, 교사들은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나아 가 교사가 장학의 주체로서 개발한 자료를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현을 제안하 였다. 본 연구는 양적, 질적으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미래형 평가에 관한 중등 교사의 인식 과 요구를 종합하여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효성 높은 정책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평가 혁신과 미래형 평가
2. 학생 평가의 문제와 쟁점
Ⅲ. 연구 방법
1. 설문조사
2. 심층 면담
Ⅳ. 연구 결과
1. 미래형 평가에 관한 인식
2. 미래형 평가 실현을 위한 지원 요구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