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in education, teachers’ digital competences are being emphasized more than ev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ntegrated view of teachers’ digital competences. For this purpos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es on teachers’ digital competences in Korea. Through a careful review and selection process, 88 articles were finally chosen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43 of them were analyzed for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teachers’ digital competences. The result revealed that teachers’ digital competences were influenced by various antecedents across five dimensions: demographic, individual, job, organizational, and external factors. We also found that teachers’ digital competence affects teacher individual factors such as digital teaching practice and self-efficacy, job 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especiall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result, we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a multidimensional and integrated approach to teachers’ digital competences.
한국어
교육의 디지털 대전환(Digital Transformation)으로 인해 교사 디지털 역량은 교사의 핵심 역량으로서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사 디지털 역량에 관한 통합적인 관점을 제공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교사 디지털 역량을 주제로 한 국내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체계적인 문헌 수집 및 검토 과정을 통해 최종적 으로 88편의 문헌을 선정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 중 43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교사 디 지털 역량의 선행 변인, 결과 변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디지털 역량은 인구통계학 적 요인, 개인 차원 요인, 직무 요인, 조직 차원 요인, 외부 요인 총 5개 차원에 걸친 다양한 선행 변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디지털 역량이 교사 개인 차원 요인과 직무 요인, 조직 차원 요인 특히 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 디지털 역량에 대한 다차원적,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 디지털 역량 개념과 특징
2. 교사 디지털 역량 관련 변인
3. 교사 디지털 역량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및 선정
2.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연구의 일반적 특성
2. 교사 디지털 역량 선행 변인
3. 교사 디지털 역량 결과 변인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