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portion of teacher administrative work on the activa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n Korean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middle school data in the first cycle of the Gyeonggi School Education Survey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school administrative work on the revitalization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irst, age and teacher effic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t the first-level individual variables., and teaching experience and homeroom teacher status have a negative effect learning community. Second, school size and democratic school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vitaliz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second-level school variabl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region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time spent by teachers on school administrative work exhibited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of activ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se analytical results empirically indicate that the problem of lack of operation and participation time due to excessive work hinders the revitaliz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t also suggests that school organizations have a culture centered on administration rather than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changes in the administrative-centered schoo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heroic principal leadership, and reduction of the proportion of teachers' school administrative work below the OECD country average as ways to revitalize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Korean schools.
한국어
본 연구는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 2021년 중학교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비중이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수준 교사 개인 변인에서 연 령과 교사효능감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교직경력, 담임교사 여부 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수준 학교 변인으로 학교 규모, 민주적 학 교문화는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 규모 와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학교 행정 업무 시간은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 석 결과는 업무 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의 문제가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으며, 학교 조직이 교수·학습보다 행정 중심의 문화를 갖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이상의 분 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으로 행정 중심적인 학 교 조직구조와 문화, 영웅적인 교장 리더십의 변화, OECD 국가 평균 이하로 교사 학교 행정 업무 비중의 감축을 제언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2.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
3. 교사의 학교 행정업무와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분석 자료
2. 측정변인
3. 분석 방법 및 연구 모형
Ⅳ. 연구 결과
1. 관찰변인의 기초통계량 및 상관분석
2. 행정업무 비중이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