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사의 미성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 - 대법원 2023. 3. 9. 선고 2020다218925 판결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Physician's Duty to Explain to Minor Patients - Focusing on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f May 18, 2023, dated 2020 D218925 -

권오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dical treatment is based on a contract between the doctor and the patient, and the doctor must obtain the patient's consent to the medical treatment. This is to protect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and as a prerequisite for consent, the doctor is obligated to explain the medical treatment. However, there is no explicit regulation and no case law has directly addressed the duty of explanation for minor patients, but the recent Target Judgment has for the first time suggested that doctors have a direct duty to explain to minor patients and the requirements for determining that the duty of explanation has been violated. As a prerequisite to discussing the validity of the target judgment, we examined the general theory of a physician's duty of explanation, the legal basis for a minor patient's capacity to cons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a minor patient's capacity to consent to medical treatment and civil law capacity. We also confirmed that the term decision-making capacity, as used in the target judgment and the statute, has virtually the same meaning as consent. After concluding that the duty of explanation to a minor patient is generally fulfilled by indirect explanation, but only by direct explanation, the case law sets out two requirements for recognizing a breach of a doctor's duty of explanation to a minor patient.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the logic of the target judgment, first of all, considering that the other party to the duty of explanation, the minor patient, has decision-making capacity, adopting the direct explanation method is consistent with the protection and welfare of the minor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secondly, even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target judgment,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decision-making capacity is still ambiguous; and thirdly, the indirect explanation method may be preferable in some cases, such as when a minor patient refuses medical treatment, which is an example of a situation where the target judgment requires the direct explanation method. Considering the problems with the subject judgment, it is recommended that the direct explanation method, in which the physician directly explains the medical procedure to the minor patient, should be the principle for the physician's duty to explain the medical procedure to the minor patient, and that specific practice guidelines should be developed to allow indirect explanations to minimize the confusion that may arise in the medical field.

한국어

의료행위는 의사와 환자 간의 계약에 따라 이루어지며 의사는 의료행위에 대한 환자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이는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호하기 위함이고 동의의 전제로서 의사는 의료행위에 관하여 설명할 의무를 부담한다. 그런데 의 사의 미성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에 관해서는 명문의 규정이 없고 판례도 직 접 다룬 바가 없었으나 최근 대상판결에서 의사는 미성년 환자에 대해서도 직 접적인 설명의무가 있다는 점과 설명의무를 위반하였다고 판단하기 위한 요건 을 처음 제시하였다. 대상판결의 타당성을 논하기 위한 전제로서 의사의 설명의무 일반론을 확인 하였고, 미성년 환자가 동의능력을 갖는 법적 근거와 의료행위에 대한 미성년 환자의 동의능력과 민법상의 능력이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대상판 결과 법령에서 사용하는 의사결정능력이 동의능력과 사실상 같은 의미를 지닌 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대상판결은 미성년 환자에 대한 설명의무를 원칙적으로 간접 설명 방식에 의 하되 예외적으로 직접 설명 방식에 의하도록 판단한 다음, 의사의 미성년 환자 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을 인정하기 위한 두 가지 요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대 상판결의 논리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설명의무의 상대방인 미 성년 환자는 의사결정능력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직접 설명 방식을 택하는 것 이 미성년 환자의 자기결정권 보호 및 복리에 부합한다는 점, 대상판결의 논리 에 따르더라도 의사결정능력의 판단기준은 여전히 모호한 점, 대상판결이 직접 설명 방식을 취해야 할 경우로 예로 든 미성년 환자가 진료를 거부하는 상황은 경우에 따라 간접 설명 방식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는 점 등이 그러하다. 대상판결이 갖는 문제점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의사의 미성년 환자에 대한 설 명의무는 의사가 직접 미성년 환자에게 의료행위에 관하여 설명하는 직접 설명 방식이 원칙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의료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최소 화하기 위해 간접 설명 방식을 허용할 수 있는 구체화한 실무지침을 조속히 마 련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대상판결]
Ⅰ. 사건의 개요
Ⅱ. 법원의 판단
[연구]
Ⅰ. 시작하며
Ⅱ. 의사의 설명의무
Ⅲ. 미성년 환자의 동의능력
Ⅳ. 대상판결의 타당성
Ⅴ.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오상 Kwon, Oh-Sang.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 변호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