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Assessment of Systematic Structural Countermeasures for Debris Flow Mitigation Using the Hyper KANAKO System

원문정보

Hyper KANAKO System을 활용한 토석류 피해 저감을 위한 계통적 사방대책의 평가

Sujin Jang, Jinho Lee, Sukwoo Kim, Kun-Woo Chu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derstanding the local and regional topography and land use of an area is crucial to prevent debris flow recurrence sites caused by heavy rainfall. Scientific techniques, such as numerical modeling, are available for effective planning of management measures and predicting potential debris flow deposition sites from future rainfall events because they consider topography and land use.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s were produced by determining the arrangement, size, and type of check dams and modeling debris flow mitigation in the Hyper KANAKO system. The results revealed the original catchment had an increased vulnerability to soil erosion, transport, and deposition compared to the catchment with check dams. Furthermore, the systemic arrangement of check dams prov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debris flow deposits when compared to a standalone arrangement.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rosion control planning, maintenance, and evaluation processes. The numerical model and resulting data from this study will be effectively utilized in decision-making by stakeholders to reduce the risk of future sediment-related disasters.

한국어

집중호우에 의한 토석류 피해지에 대한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대상 지역의 지형과 토지이용 등과 같은 국지적·지역적 이해가 요구된다. 수치모형과 같은 과학적 기법은 지형과 토지이용을 고려할 수 있으므로 잠재적 토석류 퇴적지를 예측하고,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Hyper KANAKO System에서 사방시설의 배치, 규모 및 형식을 설정하였고 토석류 저감효과를 모의하여 정량적 평가 결과를 구축하였다. 무시설 계류는 사방댐이 설치된 유역에 비해 토양 침식, 운송 및 퇴적에 취약하였고, 사방시설의 단독 배치보다는 계통적 배치가 퇴적토사 저감에 효과적이었다. 사방시설의 계획, 유지관리 및 평가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이 수치모형과 연구 결과는 향후 토사재해 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한 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에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KANAKO 모형의 지배방정식
3. 입력매개변수 및 지형조건
4. 토석류 발생 조건
5. KANAKO 시뮬레이션
Ⅲ. 연구결과
1. 유출수의 도달시간 및 첨두유량(1D area)
2. 사방댐에 의한 첨두유량의 저감률(1D area)
3. 토석류 범람시점 및 형태(2D area)
4. 퇴적토사량(2D area)
Ⅳ. 고찰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Sujin Jang Landslide Division, Department of Forest Disaster and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57, Hoegi-ro, Dongdaemun-gu, Seoul, Korea
  • Jinho Lee Division of Landslide and Debris Flow Control, Korea Forest Service, 189, Cheongsa-ro, Seo-gu, Daejeon, Korea
  • Sukwoo Kim Division of Forest Science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 Kangwondaehak-gil, Chuncheon, Gangwon State, Korea
  • Kun-Woo Chun Division of Forest Science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 Kangwondaehak-gil, Chuncheon, Gangwon State,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