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Use of Grammar and Expression in Korean Learner Corpus - A Comparision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occurrence patterns of grammar and expression items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within a learner corpu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for 309 items was examined, considering overall frequency and frequency by proficiency level, category, and communication mode. Additionally, the study assessed the extent to which the grammar and expression items assigned to each proficiency level wer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learners’ language use. The analysis revealed instances where items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roficiency level appeared with low frequency or were absent in the learner corpus at that level, highlighting a discrepancy between the content proposed in the curriculum and learners’ actual language use. These findings suggest a need to adjust the curriculum and address grammar and expression items more effectively in educational settings. The results provide a valuable foundation for curriculum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trategies and offers significant insights that could enhance the integration of macro-level educational policies with classroom practic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법ㆍ표현 항목의 학습자 말뭉치 내 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총 309개의 항목에 대해 전체적인 출현 빈도와 숙달도별, 범주별, 담화 유형별 출현 빈도 를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각 숙달도에 해당하는 문법ㆍ표현 항목이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에 얼마나 적절히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 다. 분석 결과, 특정 숙달도에 해당하는 항목이 해당 숙달도의 학습자 말뭉치에서 낮은 빈도로 출현하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관찰 되었으며, 이는 교육과정에서 제안된 내용과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 간에 불일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발견은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 조정하고, 문법 항목을 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교육과정 설계와 교육 방안 마련에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거시적 교육 정책과 교실 현장의 연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2.1. 분석 자료
2.2. 분석 방법
3. 학습자 말뭉치에 나타난 문법ㆍ표현
3.1. 전체 출현 빈도
3.2. 숙달도별 문법ㆍ표현 출현 빈도
3.3. 범주별 문법ㆍ표현 출현 빈도
3.4. 담화 유형별 문법ㆍ표현 출현 빈도
4. 학습자 말뭉치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교육과정의 문법 평정 목록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