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ccording to L1(Chinese) and L2(Korean) Comparison of Dynamic Multimodal Text Reading Patterns - Using Eye-tracking Device -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in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reading dynamic multimodal texts according to language. Specifically, the process of reading Chinese texts in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Korean texts in their second language was examined in actual time using an eye-tracking devi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spects when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language and cultural variables of the L1 and L2 text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how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read dynamic multimodal texts in L1 and L2. First, regarding reading patterns following the linguistic variables of L1 and L2 texts, L1 texts showed a pattern of skimming through audiovisual forms, whereas L2 texts demonstrated a pattern of meticulous reading that focused on written forms. This may be because the learners experienced listening anxiety regarding L2 despite their advanced level of Korean; hence, their gazes were mainly focused on letters during the reading process. Second, in the reading patterns of L1 and L2 texts, following cultural variables, learners had difficulty reading the various commercial intentions behind the texts. This emerged from differences in whether learners could use specific parts of L1 and L2 texts as clues and combine those clues with their background knowledge or experiences to infer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entire text.
한국어
이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별에 따른 동태 적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을 때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특히, 학습자의 모국어로 된 중국어 텍스트와 제2 언어로 된 한 국어 텍스트를 읽어나가는 과정을 시선추적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양상의 차이를 텍스트의 언어와 문화 변인에 따라 비교ㆍ분석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들이 L1, L2로 된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를 읽은 양상에서 다음과 같 은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L1, L2 텍스트의 언어 변인에 따른 읽기 양상에서 L1 텍스트는 시청각 양식을 중심으로 한 훑어 읽기, L2 텍스 트는 문자 양식을 중심으로 한 꼼꼼하게 읽기의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고급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L2에 대한 듣기 불안을 갖고 있기에 읽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시선이 주로 문자 중심 으로 고정되었다는 데에서 알 수 있었다. 둘째, L1, L2 텍스트의 문화 변인에 따른 읽기 양상에서 학습자들이 텍스트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 한 상업적 의도를 읽어내는 데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 이 L1, L2 텍스트의 특정 부분을 단서로 삼아 그 단서와 자신의 배경지 식 또는 자신의 경험과 결합하여 전체 텍스트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추 론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한 차이에서 나타났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동태적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2.2. L1, L2 읽기와 시선추적기법
3. 연구 방법
3.1. 실험 대상 및 실험 절차
3.2. 실험 제재
4. 결과 분석
4.1. L1, L2 텍스트의 언어 변인에 따른 읽기 양상 차이
4.2. L1, L2 텍스트의 문화 변인에 따른 읽기 양상 차이
5.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