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함안농요의 발굴과정과 음악적 변모양상

원문정보

Discovery Process and Musical Evolution of HamanNongyo

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musical transmission context of HamanNongyo, designated as Gyeongsangnam-d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39, through its discovery process, lineage, and comparative musical analysis. HamanNongyo serves as a model of regional cultural symbiosis created by the concerted efforts of local youths. Young people from the Haman area, such as the informant Lee Tae-ho, An Han-ho, and Joo Soon-nam, collected and recorded the farming songs, forming the five segments of HamanNongyo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local elders. The melodies of HamanNongyo are primarily based on the interval of a perfect fourth plus a minor third, centered around the notes ‘mi’, ‘la’, and ‘do’. A notable feature is the rapid oscillation between ‘mi’ and ‘la’. Occasionally, the note ‘si’ appears, suggesting the presence of the Yukjabaegi-tori scale. However, this is intended to smoothly connect to the minor third leap in the subsequent melody, and its appearance is very rare, thus it cannot be classified as a Yukjabaegi-tori melody. Therefore, all the melodies of HamanNongyo are composed in the Menaritori scale. Nevertheless, as pointed out by the informant Lee Tae-ho, the performances were curated by selecting only Menaritori melodies. Hence, it is not accurate to conclude that the farming songs of the Haman region,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Gyeongnam, consist solely of Menaritori melodies. The melodies performed in 2022 exhibit fewer rhythmic subdivisions and a reduction in vocal ornamentations such as vibrato and pitch bends compared to those performed in 2009 and 2012. However, the core melodic structure remains the same. This phenomenon is a natural result of the passing of the first-generation singers. In other words, while the reduction in vocal ornamentations is due to the change in singing style caused by the generational shift among singers in the transmission process, the current members of the HamanNongyo Preservation Society are a group that attempts to naturally create musical idioms by experiencing the actual process of farming rather than performing reenactm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observe the future musical transformations and pay attention to the changes that occur from experiencing the actual farming process.

한국어

본 연구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된 함안농요의 발굴과정과 계보, 음악적 비교분 석을 통해 함안농요의 음악적 전승 맥락을 고찰한 것이다. 함안농요는 지역 젊은이들이 의기투합하 여 만들어낸 지역문화 상생 과정의 표본으로써 이태호 제보자, 안한호, 주순남과 같은 함안지역 젊 은이들이 농요를 수집 및 기록하고 함안지역 토박이 노장들의 고증을 바탕으로 함안농요 다섯 마당 을 구성하였다. 함안농요의 악곡은 모두 완전4도+단3도의 ‘미라도’를 중심으로 선율 진행되는 메나리토리의 악 곡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메나리토리의 악곡만을 선별하여 연행을 구성하였기에 경남 중부권에 위 치한 함안지역 농요는 메나리토리의 악곡만으로 구성된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즉, 전승 과정에서 가창자의 세대교체로 인한 가창 방식의 변화로 시김새가 절감된 양상이 있으 나, 현재 함안농요 보존회 회원들은 농사 재현공연이 아닌, 실제 농사 과정을 경험하여 그 속에서 녹아든 고통과 애환을 느끼며 자연스레 음악적 관용구의 생성을 시도하는 보존회 단체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음악적 변모양상을 살피며 실제 농사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일어나는 음악적 변화에 주목 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발굴과정과 전승계보
3. 음악적 변모양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소영 So, Young. 영남대학교 객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