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구르지예프의 3과 7의 법칙에 대한 주역적 이해

원문정보

A Study on Gurdjieff’s 3 and 7 laws through the book of changes(Zhouyi)

심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is to expand the breadth and depth of understanding of the Enneagram by approaching Gurdjieff's 3 and 7 laws using the Oriental Zhouyi symbol system and further expanding their similarity and meaning. A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circle in the Enneagram means that everything created is perfect. A circle is an expression of the logic and law of returning to absolute 1 and 0. 1 is a circle as a created universe, an emptiness (空), and 0, called Śūnyatā, becomes a geometric point before creation. 3 is shown as an illustration of Zhouyi Sohseong Goae. A number representing the middle of yin and yang. In Zhouyi, humans lead the world in harmony and unity. Therefore, it is represented by three lines. This is called Samjae(三才). 8Goae is formed from 3 lines of Sosung Goae. In the East, 3 is the birth number. Everything is revealed only from 3. 3 corresponds to the angle of a circle. It represents the harmony of Samjae(三才) elements of heaven and earth. It is also expressed as Three Taegeku. Zhouyi is the discipline that places the most importance on middle(中). According to Doctrine of the Mean, everything grows in neutralization. Zhouyi is a Book of Change. The first lines(初) of the six lines Daesung Goae came from above lines(上) of another Goae. The above lines(上) goes to the first lines(初) of another Goae. So the beginning is the end, and the end is the beginning. It indicates an eternal circulation. Zhouyi is 2 to the sixth power(64), and they agree that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law of Enneagram 7 are 6. The 6 lines spatially appears as a sum of 6. If the center is included, it is expressed as 6+1 = 7. The law of 3 appears in Zhouyi as the law of creation. This is expressed as medium(中). The rule of 7 appears as 6 lines or 2 to the sixth power(64Goae) in Zhouyi. This means circulation and change.

한국어

구르지예프의 3과 7의 법칙에 대해 동양의 주역 상징 체계로 접근하여 살펴보고 그 유사성과 의미 를 더욱 확장하여 에니어그램의 이해의 폭과 깊이를 넓히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에 따 른 요약은 다음과 같다. 에니어그램의 원은 창조된 모든 것은 완전하고 절대적인 1과 0으로 회귀하려는 순리와 법칙 아래 에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1은 창조된 우주로서 원이며, 텅 빔(空)이자, 순야타(Śūnyatā)라 불리는 0 은 창조되기 전의 기하학적 점이 된다. 주역의 3은 소성괘의 도상으로 나타나고 음양의 통합을 표현하는 숫자이다. 주역에서 인간은 천지 인이 조화와 합일을 이루어 세상을 영위한다고 보았기에 세 개의 획으로 나타내고 이를 삼재(三才)라 고 한다. 팔괘는 이 3획의 소성괘로 형성된다. 동양에서 3은 탄생의 숫자이다. 3에서 비로소 만물이 드러난다. 원방각의 각에 해당하며 천지인 삼재의 조화를 나타낸다. 삼태극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주역에서 효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는 위(位), 정(正), 중(中)이다. 주역에서는 때를 아는 것을 매 우 중요하게 여기는데 중을 얻으면 어느 때 어느 장소나 이치에 합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은 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하지만 중하지 않을 수 있으나 중하면서 정하지 않는 때는 없다. 주역은 중(中) 을 구하는 학문이다. 중용에 의하면 만물은 중화에서 자라난다고 한다. 주역은 변역이며, 6획 대성괘의 초는 다른 괘의 상으로부터 온 것이고 상은 다른 괘의 초로 간다. 그래서 시작이 끝이고 끝이 시작인 영원한 순환을 가리키는 것이다. 주역은 2의 6승(64괘)이며, 에니 어그램 7의 법칙을 구성하는 구성요소가 6이라는 점에서 일치를 보인다. 6효는 공간적으로 6합으로 나타나며 중심을 포함하면 6+1=7로 표현된다. 3의 법칙은 주역에서도 창조의 법칙으로 나타나며 이는 중으로 표현된다. 7의 법칙은 주역에서 6 효, 또는 2의 6승(64괘)으로 나타나며 이는 순환과 변화를 의미한다.

목차

< 초록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구르지예프의 3의 법칙(트라이앵글)
2. 7의 법칙(헥사드)
3. 주역
Ⅲ. 구르지예프의 3과 7의 법칙에 관한 주역적 분석
Ⅳ. 결론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심상욱 Sang Uk, Sim. 부경고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