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에니어그램의 하위유형과 사주명리학의 지지 생왕묘의 유사성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imilarity between Enneagram subtypes and Saeju Myongology's Jiji SeangWangMyo

심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Enneagram subtypes and the Jiji SeangWangMyoji of Saeju Myongology. It broadens the breadth and depth of understanding of the subtypes of the Enneagram. Specifically, the Jiji SeangWangMyoji was analyzed through the four aspects of Jijangan, 12UnSeoung, 12Shenshǎ, and astrology. Similarity was examined by comparing it with the subtypes of the Enneagram.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nneagram subtype with Jijangan, Myoji has a past orientation and is similar to the self-preservation subtype, Wang's present orientation is similar to the one-to-one subtype, and Seang is similar to the social subtype due to its futuristic orientation. Second, when comparing the Enneagram subtype with 12unseOung, the self-preservation subtype shows characteristics similar to Seangji, the one-to-one subtype to Wangji, and the social subtype to Myoji. Third, comparing the enneagram subtype and 12 Shenshǎ, in 12 Shenshǎ with SeangWangMyoji, Seangji corresponds to Yeokmashǎ(destiny of mobility), Wangji corresponds to Dohwashǎ, and Myoji corresponds to Hwagaeshǎ. The self-preservation subtype is similar to Hwagaeshǎ, the one-to-one subtype is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Dohwasha, and the social subtype is similar to Yeokmashǎ. Fourth, when comparing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enneagram subtype and astrology, Seangji responds with a cardinal sign, Wangji responds with a fixed sign, and Myoji responds with a mutable sign. The self-preservation subtype shows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cardinal sign, the one-to-one subtype shows a fixed sign, and the social subtype shows a mutable sign. Comparing the keywords of enneagram and Saju Myungri-Hak, it is consistent with the subtype of enneagram and Jiji SangwangMyoji's material(safety), gender(self-centered), and social relations(other-centered). This is the same in essence, although the inner and the fate of humans differ in form in ancient wisdom. As a result, the subtypes of Enneagram and Jiji SangwangMyoji' show similarities with Myoji for self-preservation subtypes, Wangji for one-on-one subtypes, and Seangji for social subtyp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에니어그램의 3가지 하위유형과 사주명리학의 지지 생왕묘의 유사성을 고찰함으 로 에니어그램의 하위유형의 이해의 폭을 넓고 깊게 확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지 생왕묘를 지장 간, 12운성, 12신살, 점성학의 4가지 측면을 통하여 에니어그램의 하위유형과 비교하여 유사성을 고찰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니어그램의 하위유형과 지지 생왕묘를 지장간적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묘고지의 지장간적 요소가 과거지향성을 특징으로 가져 자기보존 하위유형, 왕지의 현재지향성은 일대일 하위유형, 생지 는 미래지향적인 특징을 가져 사회적 하위유형과 유사성을 나타낸다. 둘째, 에니어그램의 하위유형과 12운성적 측면에서 자기보존 하위유형은 생지, 일대일 하위유형은 왕지, 사회적 하위유형은 묘고지로 각기 유사성을 나타낸다. 셋째, 에니어그램의 하위유형과 12신살적 측면에서 생은 역마살, 왕은 도화살, 묘는 화개살로 자기 보존 하위유형은 화개살, 일대일 하위유형은 도화살, 사회적 하위유형은 역마살로 각기 유사성을 나타 낸다. 넷째, 에니어그램의 하위유형과 점성학적 측면에서 생은 활동궁, 왕은 고정궁, 묘는 변통궁으로 자 기보존 하위유형은 활동궁, 일대일 하위유형은 고정궁, 사회적 하위유형은 변통궁으로 유사성을 나타 낸다. 핵심어의 측면에서 에니어그램의 하위유형과 지지 생왕묘의 물질(안전), 성(자기중심), 사회적 관계 (타인중심)로 일치하는 점은 인간의 내면과 운명이 고대의 지혜에서 그 형식을 달리할 뿐 본질에서 동 일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니어그램의 하위유형과 지지 생왕묘는 자기보존 하위유형은 묘고지, 일대일 하위유 형은 왕지, 사회적 하위유형은 생지로 각기 유사점을 가진다.

목차

< 초록 >
Ⅰ. 서론
Ⅱ. 에니어그램의 3가지 하위유형
Ⅲ. 사주명리학의 지지 생왕묘
1. 지장간적 접근
2. 12운성적 접근
3. 12신살적 접근
4. 점성학적 접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심상욱 Sang Uk, Sim. 부경고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