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Intestinal Microbiome Changes in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초록
영어
We collected rat feces by group perio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and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ts for 2 weeks in the Sprague-Dawley rat model of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and analyzed trends in changes in the intestinal microbiome. Microbial composi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Fractoologosaccharide and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s(FVCE), by 16S rDNA cloning and pyrosequencing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he FVCE manufacturing process. Microbial analysis of the prokaryotic community revealed a slight difference in microbial verrucomicrobiota was dominant at the phylum level. At the genus level, prevotella and muribaculaceae showed further differences at the species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crobial community used affects the quality of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s(FVCE) produced. Thus, a stable microbial community must be maintained for the production of fruit and vegetable complex extracs(FVCE) with consistent quality.
한국어
우리는 Loperamide로 유도한 변비 Sprague-Dawley 랫드 모델에서 프락토올리고당 및 과채류복합 추출물을 2 주간 경구 투여 한 후 랫 분변의 그룹 기간별로 수집 한 후 장내 마크로바이옴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프락토올리고당 및 과채복합추출물(FVCE)에 대한 미생물 군집 분석을 16S rDNA 클로닝 및 pyrosequencing을 통해 수행하여 표준 화 및 체계화를 위한 기초 데이터를 얻었다. 과채복합추출물(FVCE) 제조 공정은 원핵생물 군집에 대한 미생물 분 석을 통해 문 수준에서 미생물 verrucomicrobiota의 약간의 차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속 수준에서는 prevotella와 muribaculaceae가 종 수준에서 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된 미생물 군집이 생산되는 과일 및 채소 복합 추출물(FVCE)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관된 품질의 과일 및 채소 복합 추출물(FVCE)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미생물 군집이 유지되어야 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재료 및 방법
1. 시험군의 구성
2. 시약 및 기기
3. 마이크로옴 분석방법
4. 통계
Ⅲ. 연구결과
1. 개체별 알파 다양성
2. 베타다양성
3. 장내 마이크롬바이옴 구성 분석
Ⅴ. 토론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