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discourse :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from 2010 to 2023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to examine the overall trend of speech-language pathology in discourse research, focusing on studies on the topic of discourse from 2010 to 2023. Twenty-five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status, research subjects (age and subject type), and research methods (type and task). As a result, first, looking at the annual status of discours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it is increasing starting from 2015 compared to 2010 to 2014. Second, the age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type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experimental study were examined. First, when analyzing the age of the subjects,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on school-age subjects (12 studies, 48.00%). When looking at the analysis of the types of experimental group subjects, the Normal group was the most (4 studies (19.04%)), and the control group subject type was also conducted with Normal as the control group (13 studies (61.90%)). It was the most. Third, in the analysis of research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type was very biased towards experimental studies, with 21 studies (84.00%). The type of research in terms of time was cross-sectional studies, which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of 21 studies (84.00%), and the research project used to evaluate discourse ability with a high proportion was discourse production, with a total of 12 studies (48.00%). This study comprehensively looked at discourse-related research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disorders and sought to identify recent trends and the direction in which discourse-related research should move.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domestic papers. In follow-up research, we hope to understand the flow of research and discuss it, including overseas research related to discourse.
한국어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담화를 주제로 연구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담화 연구에 대한 언어병리학의 전반적인 흐름 살펴보고자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논문 25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현황, 연구 대상(연령 및 대상자 유형), 연구 방법(유형 및 과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담화 연구의 연도별 현황을 살펴보면 2015년을 기점으로 2010년 ~ 2014년에 비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는 대상자의 연령과 실험연구의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먼저 대상자의 연령을 분석해 보면, 학령기(12편, 48.00%) 대상으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 유형 분석 중 실험집단 대상자 유형 분석을 살펴보면 Normal 집단의 연구가 4편(19.04%)으로 가장 많았고, 통제집단 대상자 유형 또한 Normal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고 진행한 연구가 13편(61.90%)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 방법 분석에서 연구 유형의 경우 실험연구가 21편(84.00%)으로 매우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간 관점의 연구 유형은 횡단연구가 21편(84.00%)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담화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중 높게 사용된 연구 과제는 담화 산출로 총 12편(48.00%)이었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와 관련 있는 담화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최근의 동향에 대한 경향성과 함께 담화 관련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도모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논문으로 제한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담화와 관련된 국외 연구까지 포함하여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논의가 이루어질 것을 바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문헌 선정
2. 문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 현황 분석
2. 연구 대상 분석
3. 연구 방법 분석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