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국내기업 대상 SBOM (Software Bill Of Materials) 도입에 관한 연구 : 경영층의 지원과 제도적 지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tudy on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adoption in domestic compani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nagement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유한민, 이신복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he use of software has become essential for organizations to exchange information or manage operations. However, security and software management issues that have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ICT are issues that need to be continuously addressed. In 2021, the U.S. government has standardized and established SBOM as one of the countermeasures for software security. This research was initiated as a study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introduction of SBOM in Korea. Based on the effects of SBOM characteristics on adoption intention, we tested management support and institutional support as moderating variables. As a result, security management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oderating variable for management support, and transparency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oderating variable for government institutional support. This study verified that SBOM adoption requires both corporate and government efforts, and the variables that are important from each perspective are different.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adoption of SBOM.

한국어

ICT의 발달과 함께 기업에서는 정보교환 또는 운영관리를 위해 소프트웨어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그 러나 ICT의 발달과 함께 증가한 보안 및 소프트웨어 관리이슈는 지속해서 해결해나가야 할 문제이다. 2021년 미국에 서는 이러한 소프트웨어 보안 대응책 중 하나로 SBOM을 정부주도하에 표준화 및 제도를 수립하였다. 본 연구는 이 러한 SBOM이 국내에 도입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는 연구로서 시작되었다. SBOM의 대표적인 특징들이 도입 의도 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경영층 지원과 제도적 지원을 조절 변수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경영층 지원으로는 보안 관리가 유의미한 조절 변수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제도적 지원에서는 투명성이 유의미한 조절 변수로 나타났다. SBOM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데, 각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변수가 다르다는 것을 검증한 것이다. 본 연구가 SBOM의 발전과 도입에 기여하길 바라는 바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2. 제도적 지원과 경영층 지원
Ⅲ. 연구 방법
1. 표본설계와 측정 도구
2. 분석방법
3. 가설 설정
Ⅳ. 분석 결과
1. 표본의 특성
2. 측정 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3. 측정모형의 적합도 검증
4. 연구가설 검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유한민 Ryu Han Min. 정회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과정
  • 이신복 Lee Sin-Bok. 정회원, 나사렛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