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서 경찰의 가시성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 긴축정책을 중심으로
초록
영어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olice officers on the field and crime rate. In a way that expands this narrative, this research examined the impact of police officers and police stations on crime in England and Wal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influence of austerity policies from 2010 onwards. A case study approach is taken in this study to find patterns of the research topics aforementioned. Results show that it could be asserted that the presence of police officers have at least indirect influences on crime considering austerity measures and that the closure of police station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crime to some extent, and the lack of custody cells can also lead to side effects such as delays in transporting suspects. These results present implications to Korea in that, firstly, the Korean police needs to provide an objective evaluation of situations based on crime statistics when setting directions of the police organisations regarding crime and, secondly, the political circles need to have debates on crime rates or crimes trends based on objective grounds. Lastly, the UK case discussed here would be a good reference point if there is a future discussion in Korea about the need to reduce the police force.
한국어
현장에 배치된 경찰관 수와 범죄율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 연 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를 확장하여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서 경찰관의 수와 경찰서가 범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으며, 특히 2010년 이후 영국정부에서 실시한 긴축정책의 영향에 초 점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경찰관의 수, 범죄율, 경찰서의 존재와 같은 연구 주제의 패턴을 찾기 위해 사례연구 접근 방식을 취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긴축정책을 고려할 때 경찰관의 존재는 범죄에 적어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찰서 폐쇄는 어느 정도 범죄 증가와 관련이 있고, 경찰서 폐쇄로 인해 촉발된 유치장의 부족은 피의자 이송 지연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 에 제시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경찰이 범죄 관련 경찰 조직의 방향을 설정 할 때 영국과 같이 범죄 통계를 기반으로 한 객관적인 상황 평가가 필요하며, 둘째, 정치권 에서도 객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범죄율이나 범죄 동향에 대한 토론을 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만일 미래에 한국에서 경찰력 감소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다면 여기에서 논의된 영국의 사례가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
Ⅳ. Analyses and Discussions
Ⅴ. Implications and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